우하귀
우하귀 (右下 귀)는 한국 전통 건축 용어로서, 주로 한옥의 지붕 모서리 부분에서 나타나는 특정한 형태의 장식을 지칭한다.
개요
우하귀는 주로 처마 끝 부분, 즉 지붕의 네 귀퉁이 중 오른쪽 아래에 위치한 귀의 장식을 의미한다. 이는 건물의 전체적인 균형미를 살리고, 빗물 배수를 용이하게 하는 기능적인 목적과 함께, 건물의 아름다움을 더하는 심미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특징
- 위치: 건물을 정면에서 바라볼 때 오른쪽 아래 귀퉁이에 위치한다.
- 형태: 우하귀의 형태는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곡선미를 강조한 형태를 띠며, 기와를 쌓아 올리거나 별도의 장식물을 부착하여 시각적인 포인트를 준다.
- 기능: 빗물이 건물 벽면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막고, 지붕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건물의 전체적인 외관을 더욱 돋보이게 하는 장식적인 기능도 수행한다.
- 재료: 주로 기와를 사용하며, 때로는 나무, 흙, 돌 등의 다양한 재료가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참고
우하귀는 한옥 건축의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며, 건물의 격조와 아름다움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친다. 각 지역의 특성이나 건축가의 의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우하귀가 존재하며, 이는 한국 전통 건축의 다양성과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