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8,712건

알도스테론

알도스테론은 부신 겉질(피질)에서 생성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일종으로, 주로 콩팥(신장)에서 작용하여 나트륨 흡수를 촉진하고 칼륨 배설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시스템(RAAS)의 중요한 구성 요소로서, 혈압 및 체액량 조절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기능

알도스테론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나트륨 재흡수 촉진: 콩팥의 원위세뇨관과 집합관에서 나트륨 이온의 재흡수를 촉진하여 혈액 내 나트륨 농도를 증가시킵니다. 나트륨은 물을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어, 나트륨 재흡수는 체액량 증가로 이어집니다.
  • 칼륨 배설 촉진: 콩팥에서 칼륨 이온의 배설을 촉진하여 혈액 내 칼륨 농도를 감소시킵니다.
  • 수소 이온 배설 촉진: 콩팥에서 수소 이온의 배설을 촉진하여 혈액의 pH를 조절하는 데 기여합니다.
  • 혈압 조절: 나트륨 재흡수를 통한 체액량 증가는 혈압 상승으로 이어지며,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과 협력하여 혈압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조절

알도스테론 분비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됩니다.

  •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RAAS): 혈압이 낮아지거나 콩팥으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하면 콩팥에서 레닌이 분비됩니다. 레닌은 안지오텐시노겐을 안지오텐신 I으로 변환시키고,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에 의해 안지오텐신 I은 안지오텐신 II로 변환됩니다. 안지오텐신 II는 부신 겉질을 자극하여 알도스테론 분비를 촉진합니다.
  • 혈중 칼륨 농도: 혈중 칼륨 농도가 높아지면 부신 겉질을 직접 자극하여 알도스테론 분비를 촉진합니다.
  •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 (ACTH): 뇌하수체 전엽에서 분비되는 ACTH는 알도스테론 분비를 일시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지만, 장기적인 조절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관련 질환

알도스테론의 과다 또는 과소 분비는 다양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알도스테론증 (Aldosteronism): 알도스테론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상태로, 고혈압, 저칼륨혈증, 대사성 알칼리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은 부신 종양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차성 알도스테론증은 심부전, 신부전, 간경변 등 다른 질환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애디슨병 (Addison's disease): 부신 겉질 기능 부전으로 인해 알도스테론을 비롯한 코르티솔 등 다른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는 질환입니다. 저혈압, 저나트륨혈증, 고칼륨혈증 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바터 증후군 (Bartter syndrome) 및 기텔만 증후군 (Gitelman syndrome): 콩팥 세뇨관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알도스테론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유사 알도스테론증의 일종입니다.

측정

알도스테론 수치는 혈액 또는 소변 검사를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레닌 활성도와 함께 측정하여 알도스테론증의 원인을 감별하는 데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