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미노산 대사
아미노산 대사는 생명체 내에서 아미노산이 합성, 분해, 전환되는 일련의 생화학적 과정을 포괄하는 용어입니다. 아미노산은 단백질의 구성 성분일 뿐만 아니라, 호르몬, 신경전달물질, 퓨린, 피리미딘 등 다양한 생체 분자의 전구체 역할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아미노산 대사는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다양한 생리적 기능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아미노산 대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는 아미노산의 합성 과정입니다. 생물체는 필요한 모든 아미노산을 스스로 합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일부 아미노산은 음식물을 통해 섭취해야 합니다. 이러한 아미노산을 필수 아미노산이라고 합니다. 반면, 생체 내에서 자체적으로 합성 가능한 아미노산을 비필수 아미노산이라고 합니다. 아미노산 합성은 복잡한 효소 반응을 통해 이루어지며, 에너지와 다양한 조효소를 필요로 합니다.
둘째는 아미노산의 분해 과정입니다. 아미노산은 단백질이 분해될 때 생성되거나, 음식물을 통해 섭취됩니다. 과잉 아미노산은 저장되지 않고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되거나 다른 물질로 전환됩니다. 아미노산 분해는 주로 간에서 일어나며, 아미노 그룹을 제거하는 탈아미노 반응과 탄소 골격을 분해하는 과정으로 구성됩니다. 탈아미노 반응을 통해 생성된 암모니아는 독성이 강하기 때문에 요소 회로를 거쳐 독성이 덜한 요소 형태로 전환되어 배출됩니다. 아미노산의 탄소 골격은 해당과정, TCA 회로 등 중심 대사 경로로 진입하여 에너지 생산에 사용되거나 포도당, 지방산 등으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아미노산 대사는 다양한 효소의 작용에 의해 조절되며, 호르몬, 영양 상태, 에너지 요구량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아미노산 대사의 이상은 페닐케톤뇨증, 알캅톤뇨증, 단풍시럽뇨병 등 다양한 유전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특정 아미노산의 대사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의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며, 해당 아미노산 및 그 대사산물의 축적을 초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