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심층수

심층수는 햇빛이 도달하지 않는 깊은 수심에 존재하는 해수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수심 200m 이하의 해수를 지칭하며, 표층수와는 여러 가지 특징적인 차이를 보인다.

특징

  • 저온: 태양광이 도달하지 못하므로 연중 수온이 낮고 안정적이다. 일반적으로 0~5℃ 정도의 온도를 유지한다.
  • 고염분: 표층수에 비해 염분 농도가 약간 높다.
  • 풍부한 영양염류: 식물 플랑크톤이 이용하는 질산염, 인산염, 규산염 등의 무기 영양염류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표층에서 소비된 유기물이 분해되어 심층으로 가라앉으면서 영양염류를 공급하기 때문이다.
  • 청정성: 육지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입이 적고, 햇빛이 없어 유기물 분해가 느리게 진행되므로 깨끗하고 안정된 수질을 유지한다.
  • 안정성: 표층수의 영향을 적게 받아 수온, 염분 등의 물리적 특성이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활용

심층수는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 수산 양식: 풍부한 영양염류를 이용하여 해조류나 어류 양식에 활용된다.
  • 식품 산업: 깨끗하고 미네랄이 풍부한 심층수를 식수나 기능성 음료 제조에 사용한다.
  • 의료 및 화장품 산업: 피부 미용이나 건강 증진을 위한 제품 개발에 활용된다.
  • 에너지 산업: 심층수의 낮은 온도를 이용하여 냉방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해양 온도차 발전 기술에 이용된다.
  • 농업: 영양분이 풍부한 심층수를 희석하여 농업용수로 사용하기도 한다.

환경 문제

심층수를 과도하게 취수할 경우 해양 생태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심층수 취수로 인해 심층의 영양염류가 표층으로 이동하면서 적조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심층 생태계 교란을 야기할 수도 있다. 따라서 심층수 개발 및 이용 시에는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신중한 고려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