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
수시는 대학 입학 전형의 한 종류로, 정시 모집 기간 외에 대학이 학생을 선발하는 방식을 말한다.
개요
수시 전형은 고등학교 생활기록부, 자기소개서, 면접, 논술, 실기 등 다양한 평가 요소를 활용하여 학생을 선발한다. 정시 전형과 달리 수시 전형은 학생의 잠재력과 발전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단순히 수능 성적만으로는 평가하기 어려운 학생의 역량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다.
전형 종류
수시 전형은 크게 학생부 위주 전형, 논술 위주 전형, 실기 위주 전형, 특기자 전형 등으로 나뉜다.
-
학생부 위주 전형: 학생부 교과 성적과 비교과 활동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전형이다. 학생부 교과 성적을 주로 반영하는 학생부 교과 전형과 학생부 교과 성적 외에 비교과 활동을 중요하게 평가하는 학생부 종합 전형으로 구분된다.
-
논술 위주 전형: 논술 시험 성적을 중심으로 평가하는 전형이다. 대학별 논술고사 성적이 당락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
실기 위주 전형: 예체능 계열에서 주로 실시하는 전형으로, 실기 능력 평가가 중요한 요소이다.
-
특기자 전형: 특정 분야에 뛰어난 재능이나 경력을 가진 학생을 선발하는 전형이다. 어학 능력, 과학 기술, 예체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특기를 인정받을 수 있다.
특징
-
지원 횟수 제한: 수시 전형은 지원 횟수에 제한이 있다. (2024학년도 기준 6회)
-
복수 지원 가능: 수시 전형에 합격하더라도 정시 전형에 지원할 수 있다. 다만, 수시 전형에 합격한 대학에 등록하면 정시 전형에 지원할 수 없다.
-
수능 최저학력기준: 일부 대학 및 전형에서는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한다.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하면 수시 전형에 합격하더라도 불합격 처리될 수 있다.
주의 사항
수시 전형은 대학별, 전형별로 평가 요소와 반영 비율이 다르므로, 지원하고자 하는 대학의 입학 전형 요강을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또한, 자신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전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