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리프
세리프는 활자 디자인에서 글자 획의 끝 부분에 덧붙여진 장식적인 돌출부를 지칭합니다. 세리프 서체는 일반적으로 본문용 글꼴로 많이 사용되며, 가독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특징
세리프는 글자의 획 끝에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얇은 선, 뭉툭한 형태, 쐐기 모양 등 서체마다 고유한 세리프 형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세리프는 글자를 시각적으로 구분하기 쉽게 만들어주어, 긴 문장을 읽을 때 눈의 피로를 줄여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역사
세리프 서체의 기원은 로마 시대의 석비 글자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돌에 글자를 새길 때, 획의 끝부분이 자연스럽게 넓어지는 현상이 발생했는데, 이것이 세리프의 기원이 되었다는 설이 있습니다. 이후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형태의 세리프 서체가 개발되어 오늘날에 이르고 있습니다.
분류
세리프 서체는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대표적인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올드 스타일 (Old Style): 15세기경에 등장한 서체로, 필기체의 느낌이 남아있고 획의 굵기 변화가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Garamond, Bembo 등이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
트랜지셔널 (Transitional): 올드 스타일과 모던 스타일의 중간 형태를 띠는 서체입니다. 획의 굵기 변화가 올드 스타일보다 뚜렷하며, 가독성이 좋습니다. Baskerville, Times New Roman 등이 대표적입니다.
-
모던 (Modern): 18세기 후반에 등장한 서체로, 획의 굵기 대비가 매우 강하며, 세리프가 가늘고 직선적인 것이 특징입니다. Didot, Bodoni 등이 대표적입니다.
-
이집션 (Egyptian): 19세기에 등장한 서체로, 굵고 뭉툭한 형태의 세리프를 가지고 있습니다. Clarendon, Rockwell 등이 대표적입니다.
용도
세리프 서체는 주로 책, 신문, 잡지 등의 본문용 글꼴로 많이 사용됩니다. 또한, 전통적이고 격조 있는 느낌을 주기 때문에, 기업 로고나 브랜딩에도 활용됩니다.
관련 용어
- 산세리프 (Sans-serif): 세리프가 없는 서체를 지칭합니다.
- 서체 (Typeface): 특정 디자인의 글자 모양을 의미합니다.
- 폰트 (Font): 특정 서체의 크기, 굵기, 스타일 등을 포함한 글자 파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