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수의근
불수의근은 의식적인 조절 없이 자율적으로 수축 및 이완하는 근육 조직을 의미한다.
불수의근(不隨意筋, involuntary muscle)은 척추동물의 몸속에 존재하는 근육의 한 종류로, 뇌나 척수의 직접적인 지배를 받지 않고 자율신경계의 조절을 받아 움직인다. 따라서 의식적으로 움직임을 제어할 수 없으며,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평활근과 심장근이 불수의근에 속한다.
주요 특징:
- 자율적 운동: 의식적인 노력 없이 자동적으로 수축 및 이완한다.
- 자율신경계 조절: 교감신경 및 부교감신경의 영향을 받는다.
- 생명 유지 기능: 소화, 호흡, 혈액 순환 등 생명 유지에 필수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 현미경적 특징: 현미경으로 관찰 시 가로무늬가 없는 평활근과 가로무늬가 있는 심장근으로 구분된다. 심장근은 평활근과는 달리 가지를 치는 형태를 가지며 세포 간 연결이 촘촘하다.
분류:
- 평활근(Smooth Muscle): 내장 기관, 혈관 벽, 피부 등에 분포하며, 느리고 지속적인 수축을 한다. 소화관의 연동 운동, 혈관 수축 및 이완, 방광 수축 등이 평활근의 작용에 의해 일어난다.
- 심장근(Cardiac Muscle): 심장에만 존재하는 특수한 근육 조직으로, 율동적인 수축 및 이완을 통해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킨다. 심장근은 피로를 잘 느끼지 않으며, 자동능(自動能, automatism)이라는 독자적인 수축 능력을 가지고 있다.
불수의근의 기능 이상은 다양한 질병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혈관 평활근의 이상은 고혈압이나 동맥경화를 유발할 수 있으며, 소화기관 평활근의 이상은 소화 불량이나 변비 등을 일으킬 수 있다. 심장근의 이상은 심부전이나 부정맥과 같은 심혈관 질환의 원인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