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록
봉록은 국가나 기관, 개인 등이 그 직무에 종사하는 대가로 정기적으로 지급하는 보수를 의미한다. 봉급과 녹봉을 합쳐 이르는 말이며, 일반적으로 공무원이나 특정 직업군에게 지급되는 급여를 포괄적으로 지칭할 때 사용된다.
어원 및 역사
봉록은 봉급(俸給)과 녹봉(祿俸)의 합성어이다.
- 봉급(俸給): 국가나 기관에서 임명된 직위에 따라 지급하는 급여를 뜻한다.
- 녹봉(祿俸): 과거 봉건 시대에 왕이나 영주가 신하에게 지급하던 급여로, 쌀이나 곡물 등의 현물로 지급되는 경우가 많았다. 현대에는 현금으로 지급되는 급여를 의미한다.
과거에는 녹봉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으나, 현대 사회에서는 대부분 현금으로 지급되는 봉급이 주를 이루고 있다.
특징
- 정기성: 봉록은 일반적으로 매월 일정한 날짜에 정기적으로 지급된다.
- 직무 대가: 봉록은 직무 수행에 대한 대가로 지급되며, 직위, 경력, 능력 등에 따라 금액이 달라진다.
- 법적 근거: 공무원이나 공공기관 직원의 봉록은 법률이나 규정에 의해 정해진다.
관련 용어
- 급여: 봉록과 유사한 의미로 사용되지만, 봉록보다는 더 넓은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예: 일반 기업의 급여)
- 연봉: 1년 동안 지급되는 봉록의 총액을 의미한다.
- 세금: 봉록에서 원천징수되는 세금 (소득세, 지방세 등)
- 수당: 봉록 외에 추가적으로 지급되는 금액 (직책수당, 시간외수당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