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복합부위 통증 증후군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CRPS)은 신체의 한 부위에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심한 통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군입니다. 일반적으로 팔, 다리 등 사지에 발생하며, 외상, 수술, 감염, 심지어는 사소한 부상 후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통증의 정도는 부상의 심각성과는 비례하지 않으며, 오히려 그 정도를 훨씬 뛰어넘는 경우가 많습니다.
개요
CRPS는 신경계의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신경계, 면역계, 혈관 기능 이상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과거에는 반사성 교감신경 이영양증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RSD) 혹은 작열통 (Causalgia) 등으로 불리기도 했으나, 현재는 CRPS라는 용어로 통일되었습니다.
분류
CRPS는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뉩니다.
- CRPS 유형 1: 특정 신경 손상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과거 RSD에 해당합니다.
- CRPS 유형 2: 특정 신경 손상이 확인되는 경우. 과거 작열통에 해당합니다.
증상
CRPS의 증상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개인별 차이가 큽니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통증: 지속적이고 심한 통증, 타는 듯한 통증, 쑤시는 통증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작은 자극에도 과민 반응을 보이는 이질통 (Allodynia)이나 통증에 대한 과민 반응 (Hyperalgesia)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피부 변화: 피부색 변화 (붉어짐, 창백해짐, 푸르스름해짐), 온도 변화 (차가워지거나 뜨거워짐), 땀 분비 변화 (과도한 발한 또는 건조함), 피부 질감 변화 (얇아지거나 두꺼워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부종: 해당 부위에 부종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운동 기능 장애: 근육 약화, 떨림, 경직, 운동 범위 감소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기타 증상: 손톱/발톱 성장 변화, 관절 강직, 심리적 문제 (불안, 우울증)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진단
CRPS는 특정 검사로 진단하기 어렵고, 임상적인 평가를 통해 진단합니다. 의사는 환자의 병력, 증상, 신체 검진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진단합니다. 때로는 신경전도 검사, 삼상골 스캔, 교감신경 차단술 등이 진단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Budapest criteria가 진단 기준으로 널리 사용됩니다.
치료
CRPS는 완치가 어려운 만성 질환이지만,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기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치료는 개별 환자의 증상과 상태에 맞춰 다각적으로 이루어집니다.
- 약물 치료: 진통제 (NSAIDs, 아편계 진통제), 항우울제, 항경련제, 칼슘 채널 차단제, 스테로이드 등이 통증 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 물리 치료: 운동 치료, 마사지, 냉온 찜질 등을 통해 운동 기능을 개선하고 통증을 완화합니다.
- 직업 치료: 일상생활 활동을 돕고 기능을 회복하도록 훈련합니다.
- 심리 치료: 인지 행동 치료 (CBT) 등을 통해 통증에 대한 대처 능력을 향상시키고 심리적인 문제를 해결합니다.
- 신경 차단술: 교감신경 차단술, 경막외 차단술 등이 통증 완화를 위해 시행될 수 있습니다.
- 척수 자극기 (Spinal Cord Stimulator, SCS): 만성적인 통증을 조절하기 위해 척수에 전기 자극을 주는 장치를 삽입하는 시술입니다.
- 기타 치료: 바이오피드백, 침 치료 등이 증상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예후
CRPS의 예후는 환자의 상태, 치료 시기, 치료 방법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조기에 진단하고 적극적으로 치료할수록 예후가 좋습니다. 일부 환자는 완전히 회복되기도 하지만, 만성적인 통증과 기능 장애가 지속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참고 문헌
-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Study of Pain (IASP)
-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NIN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