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블록
보도블록은 보행자의 안전하고 쾌적한 통행을 위해 보도에 설치하는 블록 형태의 포장재이다. 다양한 재료, 형태, 색상으로 제작되어 도시 미관을 개선하고 보행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한다.
개요
보도블록은 과거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획일화되었던 보도 포장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아스팔트 포장은 열섬 현상을 심화시키고, 콘크리트는 미끄러움과 딱딱한 질감으로 보행감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보도블록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디자인적인 요소를 강화하여 도시 환경의 질을 높이는 데 목적을 둔다.
재료 및 종류
보도블록은 다양한 재료로 제작되며, 그 종류 또한 다양하다.
- 콘크리트 블록: 시멘트, 골재, 물 등을 혼합하여 만든 가장 일반적인 보도블록이다. 내구성이 뛰어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 점토 블록: 점토를 구워 만든 블록으로, 자연스러운 색상과 질감을 가지고 있어 친환경적인 분위기를 연출한다.
- 투수성 블록: 빗물을 땅속으로 스며들게 하는 기능성 블록이다. 도시의 물 순환을 개선하고, 여름철 열섬 현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 고무 블록: 폐타이어 등의 고무 재료를 재활용하여 만든 블록으로, 탄성이 좋아 보행감이 뛰어나다. 어린이 놀이터나 산책로 등에 주로 사용된다.
- 화강석 블록: 화강암을 가공하여 만든 고급 블록으로, 내구성이 뛰어나고 아름다운 외관을 자랑한다. 공원이나 광장 등 주요 공간에 주로 사용된다.
시공 방법
보도블록 시공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 바탕층 조성: 보도블록을 놓기 전에 노반을 다지고, 필요에 따라 보조기층을 설치한다.
- 모래 포설: 바탕층 위에 모래를 균일하게 포설하여 블록의 높낮이를 조절하고, 배수를 돕는다.
- 블록 깔기: 설계 도면에 따라 블록을 정해진 패턴으로 깔아 나간다.
- 줄눈 채우기: 블록 사이의 간격(줄눈)에 모래나 특수 몰탈을 채워 블록의 움직임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확보한다.
- 다짐: 진동 다짐기 등을 이용하여 블록을 다져 표면을 평탄하게 만든다.
장점 및 단점
보도블록은 다음과 같은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 장점:
- 다양한 디자인과 색상으로 도시 미관을 개선한다.
- 투수성 블록을 사용하여 도시의 물 순환을 개선하고, 열섬 현상을 완화한다.
- 보수가 용이하며, 부분적인 교체가 가능하다.
- 재활용이 가능하여 친환경적이다.
- 단점:
- 아스팔트 포장에 비해 시공 비용이 비싸다.
- 줄눈 부위에 잡초가 자랄 수 있다.
- 하중을 많이 받는 곳에서는 파손될 우려가 있다.
관련 법규
보도블록의 설치 및 관리는 관련 법규에 따라 이루어진다. 대표적인 법규로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건축법, 도로법 등이 있다.
미래 전망
보도블록은 앞으로도 도시 환경 개선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친환경적인 재료를 사용하고, 다양한 기능을 추가한 스마트 보도블록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