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6건

백혈구

백혈구 (白血球, Leukocyte)는 혈액 내에 존재하는 세포의 일종으로, 면역 체계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핵을 가지고 있으며, 적혈구와 달리 헤모글로빈을 포함하지 않는다. 백혈구의 주된 기능은 외부에서 침입한 병원체(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나 체내에서 발생한 변성 세포를 제거하여 신체를 보호하는 것이다.

백혈구는 크게 과립구, 림프구, 단핵구의 세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된다.

  • 과립구 (Granulocyte): 세포질 내에 과립을 가지고 있으며, 호중구, 호산구, 호염기구로 나뉜다.

    • 호중구 (Neutrophil): 가장 흔한 유형의 백혈구로, 박테리아 감염에 대한 주요 방어 역할을 한다. 식균 작용을 통해 병원체를 제거한다.
    • 호산구 (Eosinophil): 기생충 감염이나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한다.
    • 호염기구 (Basophil): 알레르기 반응과 염증 반응에 관여하며, 히스타민과 헤파린을 분비한다.
  • 림프구 (Lymphocyte): 면역 반응에 특화된 백혈구로, T 림프구, B 림프구, 자연 살해 세포(NK 세포)로 나뉜다.

    • T 림프구 (T lymphocyte): 세포 매개 면역에 관여하며,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직접 공격하거나 다른 면역 세포를 활성화한다.
    • B 림프구 (B lymphocyte): 항체를 생성하여 체액성 면역에 관여한다.
    • 자연 살해 세포 (Natural Killer cell, NK cell):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나 암세포를 비특이적으로 제거한다.
  • 단핵구 (Monocyte): 혈액 내에서 순환하다가 조직으로 이동하여 대식세포로 분화된다. 대식세포는 식균 작용을 통해 병원체나 손상된 세포를 제거하고,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백혈구 수는 혈액 검사를 통해 측정할 수 있으며, 정상 범위는 일반적으로 4,000~11,000/μL이다. 백혈구 수의 증가는 감염, 염증, 스트레스, 백혈병 등의 질환을 나타낼 수 있으며, 백혈구 수의 감소는 면역 결핍, 약물 부작용, 자가면역 질환 등을 시사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