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기량
배기량 (排氣量, engine displacement)은 내연기관, 특히 왕복 엔진에서 피스톤이 움직이며 밀어내는 실린더 내부의 총 부피를 의미한다. 이는 엔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며, 보통 리터(L) 또는 세제곱 센티미터(cc, ㎤) 단위로 표시된다.
개념 및 측정
배기량은 엔진 실린더 하나의 부피에 실린더의 개수를 곱하여 계산된다. 실린더 하나의 부피는 피스톤의 행정 거리(stroke)와 실린더의 단면적에 의해 결정된다.
- 행정 거리: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움직이는 최상단 지점(상사점, TDC)과 최하단 지점(하사점, BDC) 사이의 거리.
- 실린더 단면적: 실린더 내부의 원형 단면의 넓이 (πr², 여기서 r은 실린더 내경의 반지름).
따라서 배기량은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배기량 = (πr² * 행정 거리) * 실린더 개수
영향
배기량은 엔진의 성능, 효율, 연비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배기량이 클수록 엔진의 최대 출력과 토크가 증가하지만, 연료 소비량도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엔진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터보차저나 슈퍼차저 등의 과급기를 사용하여 작은 배기량으로도 높은 출력을 얻는 다운사이징 엔진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활용
배기량은 자동차의 종류를 구분하거나 세금을 부과하는 기준 등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에서는 배기량에 따라 자동차세가 달라진다. 또한, 자동차 제조사들은 배기량을 마케팅 요소로 활용하여 차량의 성능을 강조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