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3,412건

방어적 현실주의

방어적 현실주의는 국제 관계 이론 중 하나로, 국가의 주된 목표는 권력 극대화가 아닌 생존과 안보 확보라는 주장을 핵심으로 한다. 공격적 현실주의와 달리, 방어적 현실주의는 국가들이 체제 내에서 과도한 권력을 추구하는 것이 오히려 역효과를 낳아 안보 딜레마를 심화시키고, 불필요한 경쟁과 갈등을 초래할 수 있다고 본다.

이론적 배경

방어적 현실주의는 구조적 현실주의의 한 분파로, 케네스 월츠의 저서 Man, the State, and WarTheory of International Politics에서 제시된 핵심 개념을 바탕으로 발전했다. 월츠는 국제 체제가 무정부 상태이며, 국가들은 생존을 위해 자조(self-help)를 할 수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그는 국가들이 권력을 추구하는 데 있어 합리적인 수준을 유지해야 하며, 과도한 팽창은 다른 국가들의 반발을 불러일으켜 오히려 안보를 위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핵심 주장

  • 생존 우선: 국가의 최우선 목표는 생존이며, 권력은 생존을 위한 수단이다.
  • 합리적 행위: 국가들은 합리적인 행위자로서, 비용-편익 분석을 통해 안보를 극대화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 안보 딜레마: 국가의 방어적 조치가 다른 국가에게는 위협으로 인식되어 군비 경쟁과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 제한된 권력 추구: 국가들은 과도한 권력 추구를 자제하고, 현상 유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 지리적 요인: 지리적 요인은 국가의 안보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며, 방어에 유리한 지형은 국가의 공격적 성향을 억제한다.

비판과 논쟁

방어적 현실주의는 국가의 행위를 지나치게 합리적으로 가정하고, 국내 정치적 요인과 지도자의 역할을 간과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또한, 국가들이 공격적 의도를 숨기고 방어적 명분을 내세울 수 있다는 점에서 현실과의 괴리가 있다는 지적도 있다. 공격적 현실주의자들은 국가들이 기회가 있을 때마다 권력을 확장하려 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방어적 현실주의의 주장에 반박한다.

주요 학자

  • 케네스 월츠 (Kenneth Waltz)
  • 스티븐 반 에버라 (Stephen Van Evera)
  • 찰스 글레이저 (Charles Glaser)
  • 스티븐 월트 (Stephen Walt)

같이 보기

  • 공격적 현실주의
  • 구조적 현실주의
  • 안보 딜레마
  • 국제 관계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