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51,840건

반사실적 사고

반사실적 사고(Counterfactual Thinking)는 이미 발생한 사건이나 상황에 대해 "만약 ~했다면" 또는 "만약 ~하지 않았더라면"과 같이 실제와는 다른 가정을 함으로써, 그 결과가 달라졌을 가능성을 상상하는 사고 과정이다. 즉, 과거에 일어난 사건을 바탕으로 실제와 반대되는 상황을 가정하고 그 결과를 추론하는 인지적 활동을 의미한다.

반사실적 사고는 크게 상향적 반사실적 사고와 하향적 반사실적 사고로 나눌 수 있다.

  • 상향적 반사실적 사고(Upward Counterfactual Thinking): 실제 결과보다 더 나은 결과를 상상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시험을 망친 후 "만약 내가 공부를 더 열심히 했다면 더 잘 봤을 텐데"라고 생각하는 것이 상향적 반사실적 사고에 해당한다. 상향적 반사실적 사고는 후회나 죄책감을 유발할 수 있지만, 미래에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한 동기 부여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 하향적 반사실적 사고(Downward Counterfactual Thinking): 실제 결과보다 더 나쁜 결과를 상상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 교통사고로 크게 다칠 뻔한 후 "그나마 이 정도로 끝난 게 다행이야"라고 생각하는 것이 하향적 반사실적 사고에 해당한다. 하향적 반사실적 사고는 안도감을 느끼게 하고, 현재 상황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반사실적 사고는 개인의 경험에 대한 해석, 감정 조절, 의사 결정, 그리고 학습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사회적 관계, 정의감, 책임감 등 다양한 사회적 인지 과정에도 관련되어 있다. 하지만 지나친 반사실적 사고는 우울증, 불안과 같은 심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