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4,386건

박씨

개요

박씨는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한국의 성씨(姓氏) 중 하나이다. 신라의 시조인 박혁거세로부터 시작되었다고 전해지며, 한국에서 김씨, 이씨 다음으로 흔한 성씨이다. 한자로는 '성 박(朴)'을 사용한다.

역사 및 유래

박씨의 유래는 신라를 건국한 박혁거세 신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 《삼국유사》 등에 따르면, 기원전 57년 신라를 건국한 박혁거세는 하늘에서 내려온 큰 알에서 태어났는데, 그 알의 모양이 박(조롱박)처럼 생겼다고 하여 성을 박(朴)으로 삼았다고 한다. 이는 박씨 성의 한자가 '성 박(朴)'이지만, 그 기원이 식물 '박(박과의 식물)'과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박씨는 신라 건국 초기부터 멸망까지 왕성을 유지하며 세력을 떨쳤다. 신라의 역대 박씨 왕으로는 박혁거세를 시작으로 남해 차차웅, 유리 이사금, 파사 이사금, 지마 이사금, 일성 이사금, 아달라 이사금, 신덕왕, 경명왕, 경애왕 등이 있다.

현황

박씨는 한국에서 가장 흔한 성씨 중 하나이다. 2015년 대한민국 인구총조사에 따르면, 박씨는 약 419만 2,000여 명으로 김씨(약 1069만 명), 이씨(약 737만 명)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성씨로 집계되었다. 이는 당시 남한 인구의 약 8.6%에 해당한다. 박씨는 한국 전역에 걸쳐 넓게 분포하며, 특히 신라의 역사적 중심지였던 경상도 지역에 많은 연고가 있다.

본관

박씨는 매우 다양한 본관(本貫)을 가지고 있다. 본관은 특정 성씨의 시조가 정착했거나 씨족의 연원을 찾을 수 있는 지역을 의미하며, 같은 박씨라도 본관에 따라 서로 다른 계보를 이루는 경우가 많다. 수십 개의 박씨 본관이 존재하며, 그중 밀양 박씨, 경주 박씨, 반남 박씨, 순천 박씨, 무안 박씨 등이 대표적이고 인구가 많은 본관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본관은 신라 멸망 후 각 지역에 정착한 박씨 후손들을 통해 형성된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