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239건

멸구

멸구는 벼멸구과(Delphacidae)에 속하는 곤충의 총칭이다. 주로 벼, 보리, 옥수수 등 벼과 식물을 즙액을 빨아먹어 가해하는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특징

  • 형태: 몸길이는 약 3~5mm 정도이며, 몸 색깔은 종에 따라 다르지만 주로 회색, 갈색, 흑갈색 등을 띤다. 머리는 삼각형 모양이며, 겹눈이 잘 발달되어 있다. 날개는 투명하며, 몸길이보다 길다.
  • 생태: 멸구는 변태를 하는 곤충으로 알, 약충, 성충의 단계를 거친다. 따뜻한 기후에서 번성하며, 벼의 생육 기간 동안 여러 세대를 거쳐 발생한다. 바람을 타고 장거리를 이동할 수 있으며, 기상 조건에 따라 대량 발생하기도 한다.
  • 가해: 멸구는 벼의 잎, 줄기, 이삭 등 다양한 부위에서 즙액을 빨아먹는다. 이로 인해 벼의 생육이 저해되고, 수확량이 감소할 수 있다. 특히 바이러스병을 매개하여 벼에 큰 피해를 주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 방제: 멸구 방제를 위해서는 적절한 시기에 살충제를 살포하거나, 저항성 품종을 재배하는 방법이 있다. 또한, 멸구의 천적인 거미, 톡토기 등을 보호하는 것도 중요하다.

주요 종

  • 벼멸구 (Nilaparvata lugens): 벼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종으로, 벼의 즙액을 빨아먹고 벼를 말라죽게 하는 '멎음 증상'을 유발한다. 또한, 벼줄무늬잎마름병 바이러스를 매개한다.
  • 흰등멸구 (Sogatella furcifera): 벼, 보리, 옥수수 등 다양한 벼과 식물을 가해하며, 벼에 흑조위축병 바이러스를 매개한다.
  • 애멸구 (Laodelphax striatellus): 벼에 줄무늬잎마름병 바이러스를 매개한다.

참고 문헌

  • 농촌진흥청, 국가농작물병해충관리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