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민요
러시아 민요(러시아어: Русские народные песни, Russkiye narodnyye pesni)는 러시아 민족의 전통적인 노래를 총칭하는 말이다. 수세기에 걸쳐 러시아 국민의 삶과 역사, 문화, 감정을 담아 구전되어 온 음악 유산이며, 러시아 문화와 예술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특정 작곡가 없이 민중에 의해 만들어지고 변형되며 전승되어 왔다는 특징을 가진다.
특징
러시아 민요는 지역별, 유형별로 다양한 특징을 보이지만, 대체로 다음과 같은 특징을 공유한다.- 선법(Mode) 사용: 장음계나 단음계보다는 자연 단음계, 도리아 선법, 프리기아 선법 등 다양한 고유 선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로 인해 독특하고 애상적인 또는 신비로운 느낌을 주기도 한다.
- 멜로디: 서정적이고 유려하며, 때로는 꾸밈음(melisma)을 많이 사용한다. 넓은 음역대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 리듬: 노래의 유형에 따라 매우 다양하다. 서사적인 노래는 자유로운 리듬을, 노동요나 춤곡은 명확하고 반복적인 리듬을 가진다. 불규칙한 박자를 사용하거나 박자가 자주 변하는 경우도 있다.
- 구조: 대부분 유절 형식(strophic form)으로, 같은 멜로디에 가사만 바뀌는 형태이다. 후렴구가 포함되거나, 선창자와 합창자가 주고받는 형태(call and response)도 흔하다.
- 가사: 자연, 사랑, 가족, 노동, 일상생활, 역사적 사건, 영웅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룬다. 슬픔과 기쁨, 애수와 활기 등 인간의 다양한 감정을 솔직하게 표현한다.
- 화성: 초기 민요는 단성음악이 많았으나, 점차 다성적인 요소가 발전하였다. 평행 이동(특히 3도, 4도, 5도)이나 드론(drone) 베이스의 사용이 특징적이다. 합창(хор)이 매우 중요하며, 다양한 성부의 어울림이 특징이다.
역사 및 발전
러시아 민요의 기원은 슬라브족의 고대 이교도 신앙과 의례에서 찾을 수 있다. 기독교가 전래되면서 일부 변화를 겪기도 했으나, 민중의 삶 속에서 고유의 형태를 유지하며 발전해왔다. 중세 이후 농노제와 같은 사회적 환경은 민요의 주제와 감성에 영향을 미쳤다.18세기와 19세기에 들어서면서 러시아 지식인들과 음악가들이 민요를 수집하고 기록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를 통해 민요는 학술적으로 연구되고 보존될 수 있었다. 글린카, 무소륵스키, 림스키코르사코프, 차이콥스키 등 러시아 국민음악파 작곡가들은 민요의 선율과 특징을 자신들의 오페라, 교향곡, 실내악 작품에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러시아 고유의 음악 색채를 확립하는 데 기여했다.
소비에트 시대에는 민요가 민족문화의 상징으로 장려되었으나, 때로는 정치적 목적에 의해 변형되거나 스타일화되기도 했다. 거대한 규모의 민요 합창단이나 악단이 만들어져 활동했다. 현대에도 러시아 민요는 활발히 불리고 있으며, 전통적인 형태 외에도 다른 장르와 융합되거나 새로운 해석을 통해 계승되고 있다.
유형
러시아 민요는 기능과 주제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의례요(календарно-обрядовые песни): 새해, 마슬레니차(사육제), 여름 축제 등 절기별 의례나 혼례, 장례식 등에 사용되는 노래. 고대 이교도 신앙의 흔적을 담고 있다.
- 노동요(трудовые песни): 농사, 어업, 건축 등 노동 과정에서 힘든 작업을 돕거나 리듬을 맞추기 위해 부르는 노래.
- 서정요(лирические песни): 사랑, 이별, 가족, 슬픔, 기쁨 등 개인적인 감정과 일상생활을 노래하는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 느리고 애상적인 곡이 많다.
- 춤곡(плясовые песни): 춤을 추기 위해 부르는 활기차고 리드미컬한 노래. '카마린스카야', '바리냐' 등이 유명하다.
- 서사시(былины): 영웅의 위업이나 역사적 사건을 이야기 형태로 노래하는 장르. 전문 이야기꾼(스카지텔)에 의해 불렸다.
- 역사요(исторические песни): 특정 역사적 인물이나 사건에 대해 노래하는 장르.
- 병사요(солдатские песни): 군대 생활, 전쟁 등을 주제로 하는 노래.
- 차스투시카(Частушка): 짧고(보통 4행), 해학적이며, 시사적인 내용을 담는 경우가 많은 즉흥적인 성격의 노래.
악기
러시아 민요는 종종 무반주(a cappella)로 불리지만, 다양한 전통 악기들이 반주에 사용된다.- 발랄라이카(Балалайка): 삼각형의 몸통을 가진 현악기. 러시아 민요의 대표적인 악기이다.
- 바얀(Баян): 러시아식 아코디언.
- 구슬리(Гусли): 고대 현악기. 치터와 유사한 형태이다.
- 자레이카(Жалейка): 나무나 갈대로 만든 소박한 관악기.
- 로슈카(Ложки): 나무 숟가락을 타악기처럼 사용하여 리듬을 만든다.
- 그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피리, 북 등이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