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폴트 여성
디폴트 여성(Default Woman)은 사회 시스템, 데이터 수집, 디자인, 규범 등이 암묵적으로 남성을 '표준' 또는 '기본값'(default)으로 설정하고, 여성을 그로부터 벗어난 예외적인 존재로 간주하는 경향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를 비판적으로 일컫는 용어이다. 이는 성별에 기반한 데이터 격차(gender data gap)나 남성 중심적 설계(male-centric design), 그리고 이로 인한 여성의 경험 소외와 불편함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개념 및 배경 오랜 기간 동안 과학, 의학, 기술, 디자인, 사회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류의 '기본 모델' 또는 '표준 대상'은 남성으로 설정되어 온 경향이 있다. 이는 역사적으로 남성이 공적 영역의 주요 행위자로 여겨지고, 데이터 축적이 남성 중심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인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여성의 신체적 특성, 건강 문제, 생활 패턴, 안전 요구사항 등은 충분히 고려되지 않거나 누락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는 여성이 사회 시스템 속에서 다양한 형태의 불이익, 위험, 불편을 겪게 되는 원인이 된다.
주요 사례 '디폴트 여성' 개념이 적용되는 구체적인 사례는 다음과 같다.
- 디자인 및 제품: 자동차 안전벨트 및 에어백 테스트 시 남성 체격의 마네킹을 기본으로 사용하거나, 스마트폰 등 휴대용 기기의 크기가 평균 남성 손 크기에 맞춰져 있어 여성이 사용하기 불편한 경우. 이는 여성의 신체에 최적화되지 않은 디자인으로 인해 안전 문제나 사용성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 의학 및 건강: 의학 연구나 임상 시험이 남성을 우선 대상으로 진행되는 경향으로 인해, 여성에게 다르게 나타나는 질병의 증상(예: 심근경색의 비전형적 증상), 약물 반응, 치료 효과 등에 대한 데이터가 부족하여 여성 건강 문제가 간과되거나 적절한 진단 및 치료가 지연될 수 있다.
- 도시 및 사회 시스템: 도시 계획이나 대중교통 시스템 설계 시 주로 남성의 통근 패턴을 기준으로 하거나, 여성이 밤늦게 귀가할 때 느끼는 안전 문제(조명, CCTV 등)가 충분히 고려되지 않는 경우.
- 데이터 수집: 성별 분리 데이터가 체계적으로 수집되지 않거나, 남성 데이터만을 기반으로 정책이나 서비스가 설계되어 여성의 필요가 반영되지 않는 경우.
비판적 함의 '디폴트 여성' 개념은 이러한 '남성 표준'으로 인해 발생하는 여성의 사회적 투명인간화(invisibility)와 불평등을 비판하는 핵심적인 틀을 제공한다. 이는 성별 데이터 격차 해소, 포괄적인 연구 및 디자인 방법론 개발, 그리고 여성의 경험을 시스템 설계 및 정책 결정 과정에 적극적으로 포함시키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 개념은 단순히 여성만을 위한 별도의 시스템을 만들자는 것이 아니라, 모든 성별의 다양한 경험과 특성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여 보다 공정하고 안전하며 효율적인 사회를 만들자는 논의로 이어진다.
관련 개념
- 젠더 데이터 격차(Gender Data Gap)
- 남성 중심 설계(Male-centric Design)
- 체계적 성차별(Systemic Sex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