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525건

대륙붕

대륙붕(大陸棚, continental shelf)은 해안선에서 시작하여 경사가 완만하게 이어지는 해저 지형으로, 대륙 주변부에 넓게 발달되어 있다. 지질학적으로는 대륙의 일부로 간주되며, 수심은 일반적으로 200m 이내이다. 폭은 지역에 따라 크게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수십 킬로미터에서 수백 킬로미터에 이르기도 한다.

특징

  • 얕은 수심: 대륙붕은 비교적 얕은 수심을 유지하고 있어 햇빛이 잘 투과되고, 플랑크톤 등 생물의 번성에 유리하다. 따라서 어족 자원이 풍부한 황금어장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 퇴적 환경: 대륙에서 운반된 퇴적물이 쌓이기 쉬운 환경을 제공하며, 사암, 이암, 석회암 등의 퇴적암이 주로 발견된다.
  • 지질학적 안정성: 대륙의 일부이므로 지각 변동이 활발하지 않은 안정적인 지형을 보인다.
  • 빙하기의 영향: 과거 빙하기에는 해수면이 낮아져 대륙붕이 육지로 드러나기도 했다. 따라서 과거의 하천 지형이나 해안선 흔적이 남아있는 경우가 있다.

중요성

  • 생물 다양성: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를 제공하며, 먹이 사슬의 기초가 되는 플랑크톤이 풍부하게 서식한다.
  • 어업 자원: 수많은 어류와 해산물의 주요 서식지로, 인류에게 중요한 식량 자원을 제공한다.
  • 광물 자원: 석유, 천연가스, 광물 등 다양한 지하자원이 매장되어 있어 경제적 가치가 높다. 특히 석유와 천연가스의 탐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 해양 연구: 과거 해수면 변동과 해양 환경 변화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 영토 분쟁: 대륙붕의 경계는 국가 간 해양 경계 설정에 중요한 기준이 되며, 자원 확보를 둘러싼 영토 분쟁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관련 용어

  • 대륙 사면 (Continental Slope): 대륙붕 끝에서 급경사를 이루며 심해저 평원으로 이어지는 해저 지형.
  • 심해저 평원 (Abyssal Plain): 수심 3,000m 이상, 경사 1/1,000 이하의 완만한 평탄면으로, 지구 표면의 70%를 차지한다.
  • 배타적 경제 수역 (Exclusive Economic Zone, EEZ): 자국 연안으로부터 200해리(약 370km) 범위 내에서 자원 개발 권한을 독점적으로 행사할 수 있는 해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