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대구 동화사 지장시왕도

분류: 불화 (佛畫), 지장시왕도

소장처: 대구 동화사

제작시기: 조선 후기

개요

대구 동화사 지장시왕도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불화로, 지장보살과 시왕을 중심으로 여러 존상들이 그려져 있다. 지장시왕도는 지옥의 고통에서 중생을 구제하는 지장보살과 열 명의 시왕을 묘사한 그림으로, 불교의 사후 세계관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다. 동화사 지장시왕도는 화면 구성, 인물 묘사, 채색 기법 등에서 조선 후기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대표적인 예시로 평가받는다. 특히, 인물들의 표정과 의복 묘사가 세밀하고 생동감 있으며, 채색 또한 화려하고 아름다워 예술적 가치가 높다.

특징

  • 화려한 색채: 다채로운 색감과 섬세한 채색 기법이 사용되어 화면 전체에 화려함을 더한다. 색감의 조화와 명암 처리가 뛰어나 인물과 배경의 입체감을 효과적으로 나타낸다.

  • 세밀한 인물 묘사: 지장보살과 시왕, 그리고 주변 존상들의 표정과 의복, 장신구 등이 매우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다. 각 인물의 개성과 특징을 잘 드러내는 섬세한 묘사는 작품의 예술적 가치를 높이는 요소이다.

  • 안정적인 구도: 인물들의 배치와 화면 구성이 안정적이고 균형감 있게 이루어져 있다. 중앙에 위치한 지장보살을 중심으로 시왕과 다른 존상들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전체적인 조화를 이룬다.

  • 조선 후기 불화의 특징 반영: 전반적인 화풍과 기법에서 조선 후기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당시 유행하던 화려한 색채와 세밀한 묘사 기법이 잘 나타나 있다.

가치

대구 동화사 지장시왕도는 조선 후기 불화의 특징을 잘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으로, 예술적 가치뿐 아니라 불교 미술사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세밀한 묘사와 화려한 색채, 안정적인 구성 등은 높은 예술적 완성도를 보여주며, 불교의 사후 세계관을 이해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또한, 잘 보존되어 온 상태로 그 당시의 회화 기법과 미술 양식을 연구하는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