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즙산
담즙산은 콜레스테롤에서 유래된 스테로이드성 유기산의 일종으로, 주로 간에서 생성되어 담낭에 저장된 후 소장으로 분비되는 담즙의 주요 구성 성분이다. 담즙산은 지방의 소화 및 흡수를 돕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특히 지용성 비타민(A, D, E, K)의 흡수에 필수적이다.
기능
- 지방 유화: 담즙산은 지방을 작은 입자로 분해하여 소화 효소가 작용하기 쉬운 상태로 만드는 유화 작용을 한다. 이는 소장에서 지방의 소화 효소인 리파아제에 의한 분해를 촉진시킨다.
- 미셀 형성: 담즙산은 지방산, 콜레스테롤, 지용성 비타민과 함께 미셀이라는 작은 구형 구조를 형성한다. 미셀은 수용성 환경인 소장 내에서 지용성 물질들이 효과적으로 흡수될 수 있도록 돕는다.
- 콜레스테롤 배설: 담즙산은 콜레스테롤을 체외로 배설하는 경로의 일부를 담당한다.
- 장내 세균 조절: 담즙산은 장내 세균의 조성과 활성에 영향을 미쳐 장 건강에 기여한다.
종류
주요 담즙산으로는 콜산(cholic acid)과 케노데옥시콜산(chenodeoxycholic acid)이 있으며, 이들은 간에서 직접 합성되는 1차 담즙산이다. 1차 담즙산은 소장으로 분비된 후 장내 세균에 의해 변형되어 2차 담즙산인 데옥시콜산(deoxycholic acid)과 리토콜산(lithocholic acid)으로 전환된다. 또한, 담즙산은 글리신 또는 타우린과 결합하여 글리코콜산(glycocholic acid)과 타우로콜산(taurocholic acid) 등의 형태로 존재하며, 이러한 결합형은 수용성이 더 높아 지방 유화 작용에 효과적이다.
순환
담즙산은 소장에서 지방 흡수를 도운 후 대부분 회장(ileum)에서 능동 수송을 통해 재흡수되어 문맥을 통해 간으로 되돌아간다. 이러한 순환 과정을 장간순환(enterohepatic circulation)이라고 하며, 이를 통해 담즙산은 효율적으로 재활용되어 배설되는 양을 최소화한다.
임상적 중요성
담즙산의 생성, 분비, 재흡수 과정에 이상이 생기면 지방 흡수 장애, 설사, 담석 형성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담즙산 수치는 간 질환 진단 및 모니터링에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담도 폐쇄나 간 기능 저하 시 혈중 담즙산 수치가 상승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