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09건

달동네

달동네는 도시의 낙후된 지역을 가리키는 속어이다. 일반적으로 산비탈이나 언덕과 같이 지형적으로 불리한 곳에 형성되어 기반 시설이 열악하고 주거 환경이 좋지 않은 동네를 의미한다.

개념 및 특징

달동네라는 이름은 높은 곳에 위치하여 달을 보기 쉽다는 데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유력하다. 달동네는 주로 1960년대 이후 도시로 이주한 빈민층이 정착하면서 형성되었다. 급격한 도시화 과정에서 주택 부족 문제가 심화되자, 도시 외곽의 저렴한 땅에 무허가 주택들이 들어서면서 자연스럽게 달동네가 형성된 것이다.

달동네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 지리적 특징: 경사가 심한 언덕이나 산비탈에 위치
  • 주거 환경: 노후화된 주택, 좁은 골목길, 부족한 기반 시설 (상하수도, 도로 등)
  • 사회 경제적 특징: 저소득층 주민 비율이 높음, 일자리 부족, 교육 기회 부족
  • 공동체 문화: 어려운 환경 속에서 서로 돕고 의지하는 공동체 문화가 형성되기도 함

역사적 배경

한국의 달동네는 196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도시 빈민의 주거 공간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주거 환경의 열악함, 사회적 낙인 등의 문제점이 부각되었다. 1990년대 이후 재개발 사업을 통해 많은 달동네가 사라졌지만, 여전히 일부 지역에는 달동네의 흔적이 남아 있다.

사회적 의미

달동네는 한국 사회의 경제 성장 과정에서 발생한 불균형과 빈부 격차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공간이다. 또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삶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곳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달동네의 역사적, 문화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보존하려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달동네는 단순한 주거 공간을 넘어 한국 사회의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는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인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