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소
기소는 형사 사건에서 검찰 또는 사법 당국이 피의자를 특정 범죄 혐의로 법원에 재판을 받도록 하는 절차를 의미한다. 기소는 수사 단계의 종결을 의미하며, 피의자가 유죄로 판결받을 수 있도록 충분한 증거가 있다고 검찰이 판단했을 때 이루어진다. 기소가 이루어지면 피의자는 피고인이 되며, 법원의 재판을 받게 된다.
기소의 방법은 국가별, 법 체계별로 상이하며, 대표적으로 공소 제기, 고발 등이 있다. 공소 제기는 검찰이 직접 법원에 기소장을 제출하는 방식이고, 고발은 개인이나 단체가 검찰에 수사 및 기소를 요청하는 방식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기소를 하기 위한 검찰의 결정에 대해 법원의 심사를 거치는 경우도 있다.
기소 여부는 검찰의 재량에 맡겨지는 경우가 많으나, 피의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일정한 기준과 절차를 준수해야 한다. 검찰은 충분한 증거가 없거나 공익상 기소가 부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기소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를 '불기소'라고 한다. 불기소 처분에 대해서는 피해자 등이 재정 신청을 통해 법원에 기소 여부를 다시 판단해 줄 것을 요청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기소는 범죄자 처벌 및 사회 정의 구현이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무분별한 기소는 개인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으므로 신중한 판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기소 절차는 투명하고 공정하게 진행되어야 하며, 피고인의 방어권 보장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기소 후에는 공판 절차가 진행되며, 피고인은 자신의 무죄를 입증할 기회를 갖게 된다. 최종적으로 법원의 판결에 따라 유죄 또는 무죄가 확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