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454건

근전도

근전도는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기록하고 분석하는 생리학적 검사 기법입니다. 신경 및 근육 질환의 진단, 재활 치료 효과 평가, 운동 생리학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정의 및 원리

근전도는 근육이 수축하거나 이완할 때 발생하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하여 기록합니다. 근육 섬유는 신경의 자극을 받아 탈분극되면서 활동 전위를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활동 전위들의 합이 근전도 신호로 나타납니다. 근전도 검사는 이러한 전기적 신호의 크기, 빈도, 파형 등을 분석하여 근육의 활성 상태와 신경-근육 접합부의 기능 이상 여부를 평가합니다.

검사 방법

근전도 검사는 크게 표면 근전도와 침 근전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

  • 표면 근전도 (Surface EMG): 피부 표면에 부착된 전극을 통해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비침습적이며 간편하게 시행할 수 있지만, 심부 근육의 활동을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렵고 주변 근육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주로 운동 생리학 연구나 바이오피드백 치료 등에 활용됩니다.

  • 침 근전도 (Needle EMG): 가느다란 바늘 전극을 근육에 삽입하여 직접 근육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표면 근전도에 비해 심부 근육의 활동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개별 근육 섬유의 활동 전위를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신경근육 질환의 진단에 널리 사용됩니다.

활용 분야

  • 신경근육 질환 진단: 근육병, 운동신경원 질환, 말초신경병증, 신경근 접합부 질환 (중증 근무력증 등) 등의 진단에 활용됩니다.

  • 재활 치료 효과 평가: 근력 강화 훈련, 신경 재활 치료 등의 효과를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 운동 생리학 연구: 운동 중 근육의 활성 패턴, 근피로 등을 연구하는 데 활용됩니다.

  • 보행 분석: 보행 시 근육의 활성 패턴을 분석하여 보행 장애의 원인을 파악하고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사용됩니다.

주의 사항

근전도 검사는 일반적으로 안전한 검사이지만, 침 근전도의 경우 드물게 출혈, 감염, 통증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검사 전 환자는 현재 복용 중인 약물이나 질병 이력 등을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