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47건

권적운

권적운 (卷積雲, Cirrocumulus cloud)은 구름의 한 종류로, 높은 고도(약 6,000m 이상)에서 나타나는 얇고 흰색의 구름이다. 작은 알갱이나 잔물결 모양을 하고 있으며, 때로는 비늘처럼 보이기도 한다. '양떼구름' 또는 '고등어 비늘구름'이라고도 불린다.

특징

  • 구성: 주로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 모양: 작고 둥근 덩어리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는 형태이다. 개개의 덩어리는 손가락 너비보다 작다.
  • 고도: 대개 6,000m 이상의 높은 고도에서 형성된다.
  • 날씨: 권적운이 나타난 후에는 날씨가 변하여 비나 눈이 올 가능성이 있다. 특히 권층운으로 변하는 경우에는 날씨 변화가 예상된다.
  • 생성 과정: 대기 중의 수증기가 상승하면서 냉각되어 얼음 결정으로 응결되고, 이것들이 모여 권적운을 형성한다. 대기의 불안정이나 산악 지형의 영향으로 인해 생성되기도 한다.

관련 구름

  • 권운: 마찬가지로 높은 고도에서 나타나는 얇고 흰색의 구름이지만, 실 모양이나 깃털 모양을 하고 있다.
  • 권층운: 권운과 권적운 사이의 형태로, 하늘을 얇은 베일처럼 덮는 구름이다. 해나 달 주위에 무지개 빛깔의 테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 고적운: 중간 높이에서 나타나는 구름으로, 권적운과 유사하게 작은 덩어리 모양을 하고 있지만, 개개의 덩어리가 더 크고 뚜렷하다.

권적운은 아름다운 하늘 풍경을 연출하며, 날씨 변화를 예측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