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위주의
권위주의 (權威主義, authoritarianism)는 개인의 자유나 의사보다 사회 질서 유지 및 집단의 목표 달성을 우선시하며, 강력한 지도자 또는 소수의 엘리트 집단에 의해 권력이 집중되고, 이에 대한 복종을 강조하는 정치 사상 및 체제를 의미한다. 권위주의 체제는 종종 민주주의적 가치, 즉 개인의 권리, 정치적 자유, 법치주의 등을 제한하거나 무시하는 경향을 보인다.
특징
- 강력한 지도력 및 권력 집중: 권위주의 체제는 강력한 지도자 또는 소수의 엘리트 집단이 정치, 경제, 사회 등 모든 영역에서 광범위한 권력을 행사한다.
- 정치적 참여 제한: 시민의 정치적 참여, 즉 선거, 집회, 결사의 자유 등이 제한되거나 통제된다. 반대 의견 표출이나 비판은 탄압받을 수 있다.
- 개인의 자유 제한: 언론, 출판, 사상, 종교 등 개인의 자유가 제한되며, 국가 또는 집단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강하다.
- 엄격한 사회 통제: 사회 질서 유지 및 체제 유지를 위해 법률, 규칙, 감시 시스템 등을 통해 사회를 엄격하게 통제한다.
- 이데올로기 강조: 체제 정당성을 확보하고 사회 통합을 도모하기 위해 특정 이데올로기 (민족주의, 사회주의, 종교적 교리 등)를 강조하고 주입한다.
- 정치적 다원주의 부재: 다양한 정치 세력의 경쟁과 공존을 허용하지 않으며, 단일 정당 또는 지배적인 정치 세력이 권력을 독점하는 경우가 많다.
유형
권위주의는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전체주의: 국가가 개인의 삶 모든 영역을 통제하려는 극단적인 형태의 권위주의.
- 군부 독재: 군부가 직접 권력을 장악하고 통치하는 형태.
- 개인 독재: 한 명의 지도자가 강력한 권력을 행사하며 장기 집권하는 형태.
- 과두제: 소수의 엘리트 집단이 권력을 독점하는 형태.
비판
권위주의는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침해하고, 정치적 다양성을 억압하며, 사회 발전을 저해한다는 비판을 받는다. 또한, 권력 남용 및 부패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도 있다.
관련 용어
- 독재
- 전체주의
- 민주주의
- 자유주의
- 정치적 자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