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
구름(cloud)은 대기 중에 부유하는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의 집합체이다. 수증기가 응결 또는 승화하여 형성되며, 그 크기, 모양, 높이, 그리고 구성 성분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나타낸다. 구름의 형성은 대기의 온도, 습도, 기압, 그리고 상승 기류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구름은 지구의 기후 시스템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태양 복사의 반사와 흡수, 강수의 형성 등에 관여한다.
구름의 분류:
국제구름분류법(International Cloud Atlas)에 따라 구름은 높이와 모양에 따라 10개의 기본 구름 종류로 분류되며, 이들은 다시 여러 아종과 변종으로 세분화된다. 주요 구름 종류로는 권운(Cirrus), 권적운(Cirrocumulus), 권층운(Cirrostratus), 고층운(Altostratus), 고적운(Altocumulus), 층운(Stratus), 난층운(Nimbostratus), 적운(Cumulus), 적란운(Cumulonimbus), 층적운(Stratocumulus) 등이 있다. 각 구름 종류는 고유한 특징을 가지며, 이를 통해 기상 예보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구름과 날씨:
구름의 종류와 양은 현재의 날씨뿐 아니라 미래의 날씨 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지표가 된다. 예를 들어, 적란운은 뇌우를 동반할 가능성이 높으며, 층운은 안개나 이슬비를 동반할 수 있다. 구름의 관측은 기상학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위성 및 지상 관측을 통해 수집된 구름 자료는 기상 예보 모델의 입력 자료로 사용된다.
구름의 형성 과정:
대기 중의 수증기는 상승 기류에 의해 상공으로 이동하면서 단열 팽창으로 인해 온도가 낮아진다.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떨어지면 수증기는 응결핵(미세한 먼지 입자 등)을 중심으로 응결하여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을 형성한다. 이러한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들이 모여 구름을 형성하게 된다. 구름 내부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의 크기와 수가 증가하면 강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