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개혁위원회
교육개혁위원회는 국가 또는 특정 교육 관련 기관이 교육 제도의 개선 및 발전을 목적으로 설치하는 자문 기구 또는 추진 기구이다. 주요 임무는 기존 교육 시스템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시대 변화 및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새로운 교육 정책 방향 및 구체적인 개혁 방안을 연구하고 제시하는 것이다.
이 위원회에서 다루는 개혁 과제는 매우 광범위하며, 교육 과정 및 교과 내용의 변경, 대입 등 입시 제도의 개선, 교원 양성 및 연수 체계 개편, 학교 운영 방식의 혁신, 교육 재정의 효율화 방안, 교육 관련 법령 및 제도 정비 등 교육 전반에 걸친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교육개혁위원회는 주로 대통령, 국무총리, 교육부 장관 등 고위직 책임자의 직속으로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교육 전문가, 학자, 교원 대표, 학부모 대표, 시민사회 관계자 등 다양한 분야의 인사들로 구성되어 폭넓은 의견을 수렴하고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려는 노력을 기울인다.
대한민국에서는 역대 정부들이 교육 개혁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대통령 직속 또는 교육부 산하에 임시 또는 상설 형태의 교육개혁위원회를 설치하여 중요한 교육 정책 변화를 논의하고 추진해왔으며, 이러한 위원회의 활동은 국내 교육 시스템에 큰 영향을 미쳐왔다. 위원회의 성격과 권한은 설치 배경 및 시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교육계의 주요 현안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와 정책 제안을 통해 교육의 미래 방향을 설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