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시
광역시는 대한민국 지방 자치 제도의 한 형태로, 일반 시보다 넓은 행정 구역과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으며, 정치, 경제, 사회, 문화의 중심 기능을 수행하는 도시를 의미합니다. 특별시와 마찬가지로 도(道)에 소속되지 않고 독립된 행정 구역으로 존재하며, 기초자치단체인 구(區)를 하위에 두고 있습니다.
개요
광역시는 1963년 직할시 제도가 도입되면서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1995년 지방 자치법 개정을 통해 현재의 광역시 명칭으로 변경되었습니다. 광역시는 일반 시에 비해 더 많은 자치 권한과 재정적 자립도를 가지며, 도시 개발, 교통망 구축, 산업 육성 등 광역적인 행정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지정 요건 및 현황
광역시는 일반적으로 인구 100만 명 이상인 도시 중에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중요성을 고려하여 지정됩니다. 다만, 인구 기준은 절대적인 것은 아니며, 지역 균형 발전 등의 정책적 고려에 따라 예외적으로 지정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현재 대한민국에는 다음과 같은 광역시가 존재합니다.
- 부산광역시
- 대구광역시
- 인천광역시
- 광주광역시
- 대전광역시
- 울산광역시
특징
- 독립적인 행정 구역: 도(道)에 소속되지 않고 독립된 행정 구역을 가집니다.
- 기초자치단체 (구) 관할: 하위에 구(區)를 두고, 구청장은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됩니다.
- 광역적인 행정 서비스 제공: 도시 계획, 교통, 환경 등 광역적인 행정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재정적 자립도: 일반 시에 비해 높은 재정적 자립도를 가집니다.
- 지역 경제 중심지: 지역 경제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며, 산업 육성 및 투자 유치에 적극적으로 참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