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산식
계산식은 수학적 연산 과정을 나타내는 식으로, 숫자, 변수, 연산 기호 등으로 구성된다. 계산식은 특정한 값을 구하거나, 변수 간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구성 요소
- 숫자 (Constants): 0, 1, 2, 3 등과 같이 고정된 값을 가지는 상수.
- 변수 (Variables): x, y, z 등과 같이 값이 변할 수 있는 미지수.
- 연산 기호 (Operators): 덧셈 (+), 뺄셈 (-), 곱셈 (*), 나눗셈 (/), 거듭제곱 (^) 등과 같이 수학적 연산을 나타내는 기호.
- 괄호 (Parentheses): 연산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호. 괄호 안의 연산이 먼저 수행된다.
- 함수 (Functions): sin, cos, log 등과 같이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수학적 함수.
종류
- 대수식 (Algebraic Expression): 숫자, 변수, 연산 기호만으로 이루어진 식.
- 방정식 (Equation): 등호 (=)를 포함하여 두 식이 같음을 나타내는 식.
- 부등식 (Inequality): 부등호 (>, <, ≥, ≤)를 포함하여 두 식의 크기 관계를 나타내는 식.
- 함수식 (Functional Expression): 함수를 사용하여 표현된 식.
활용
계산식은 수학, 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문제 해결, 모델링, 데이터 분석 등에 널리 활용된다. 컴퓨터 프로그래밍에서도 계산식을 사용하여 복잡한 알고리즘을 구현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