견운모
견운모(絹雲母, Sericite)는 운모 광물 그룹에 속하는 백운모의 일종으로, 화학식은 KAl₂(AlSi₃O₁₀)(OH)₂를 갖는다. 일반적인 백운모와 매우 유사하지만, 입자의 크기가 훨씬 작고, 일반적으로 수산기(OH) 함량이 더 높다. 견운모라는 이름은 "비단"을 뜻하는 라틴어 "sericus"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견운모가 비단과 같이 부드럽고 윤기 있는 외관을 가지기 때문이다.
특징
- 외관: 미세한 입자로 구성되어 있어 눈으로 개별 광물을 식별하기 어렵다. 일반적으로 흰색, 회색, 황색 또는 녹색을 띠며, 비단과 같은 광택을 낸다.
- 물성: 쪼개짐이 완전하며, 박편으로 쉽게 분리된다. 연질이며, 굳기는 2-2.5 정도이다.
- 구성: 주성분은 규산염 광물이며, 알루미늄, 칼륨, 수산기 등을 함유한다. 철, 마그네슘, 나트륨 등이 미량 포함될 수 있다.
- 생성: 주로 변성 작용이나 열수 변질 작용에 의해 생성된다. 장석이나 기타 규산염 광물이 변질되어 생성되는 경우가 많다.
용도
- 화장품: 피부에 부드러운 감촉을 주고, 빛을 반사하여 피부톤을 밝게 보이게 하는 효과가 있어 파우더, 파운데이션, 아이섀도우 등 다양한 화장품의 원료로 사용된다.
- 도료: 도료의 충전재로 사용되어 도막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광택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 제지: 종이의 불투명도를 높이고, 인쇄성을 개선하는 데 사용된다.
- 세라믹: 세라믹 제품의 강도를 높이고,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 기타: 플라스틱, 고무, 접착제 등의 충전재로도 사용된다.
산출지
견운모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며, 특히 변성암 지역에서 많이 산출된다. 대한민국에서도 다양한 지역에서 견운모가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