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정고시
검정고시는 대한민국에서 정규 교육과정을 이수하지 못한 사람에게 학력 취득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는 시험 제도이다. 정식 명칭은 '고등학교 졸업 학력 검정고시' (이하 고졸 검정고시) 또는 '중학교 졸업 학력 검정고시' (이하 중졸 검정고시) 등 취득하고자 하는 학력에 따라 구분된다.
개요
검정고시는 개인적인 사정으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을 정상적으로 마치지 못한 사람들에게 해당 학력을 인정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를 통해 상급 학교 진학이나 취업 등 사회 활동에 필요한 기본적인 학력 조건을 충족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응시 자격
- 중졸 검정고시: 초등학교 졸업자 또는 초등학교 졸업과 동등한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
- 고졸 검정고시: 중학교 졸업자 또는 중학교 졸업과 동등한 학력이 있다고 인정되는 자.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자는 응시가 불가능하며, 고등학교를 자퇴한 경우에 응시 자격이 주어진다.
시험 과목
- 중졸 검정고시: 국어, 수학, 영어, 사회, 과학, 선택 과목 (도덕,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중 택 1)
- 고졸 검정고시: 국어, 수학, 영어, 한국사, 사회, 과학, 선택 과목 (도덕,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중 택 1)
시험 일정 및 방법
검정고시는 일반적으로 1년에 2회 시행되며, 시험 일정은 교육청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고된다. 시험은 객관식 필기시험으로 진행되며, 각 과목별 배점과 합격 기준은 교육청에서 정한 규정에 따른다.
합격 기준
각 과목별 100점 만점을 기준으로, 모든 과목의 평균 점수가 6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 과목 낙제는 없으며, 평균 점수만으로 합격 여부를 판단한다.
합격 후
검정고시에 합격하면 해당 학력(중졸 또는 고졸)을 인정받게 되며, 대입 검정고시 합격자는 대학교 입학 자격이 주어진다. 또한, 고졸 검정고시 합격자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응시하여 대학교에 진학할 수 있다.
기타
검정고시 관련 정보는 해당 교육청 홈페이지 또는 관련 기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험 준비를 위한 다양한 교재와 강의가 제공되고 있으며, 독학 또는 학원 수강 등을 통해 준비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