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9,967건

호르몬

호르몬은 특정 세포나 기관에서 생성되어 혈액을 통해 다른 세포나 기관으로 운반되어 그 기능이나 활동을 조절하는 화학 물질이다. 호르몬은 생물의 성장, 발달, 생식, 대사, 항상성 유지 등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 관여하며, 미량으로도 강력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종류

호르몬은 화학적 구조에 따라 크게 스테로이드 호르몬, 펩타이드 호르몬, 아민 호르몬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 스테로이드 호르몬: 콜레스테롤을 전구체로 하며, 성호르몬(에스트로겐, 테스토스테론)과 부신피질 호르몬(코르티솔, 알도스테론) 등이 있다. 세포막을 통과하여 세포 내 수용체와 결합하여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 펩타이드 호르몬: 아미노산 사슬로 구성되며, 인슐린, 성장 호르몬, 갑상선 자극 호르몬 등이 있다. 세포막에 있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 내 신호 전달 체계를 활성화시킨다.

  • 아민 호르몬: 티로신이나 트립토판과 같은 아미노산에서 유래하며, 아드레날린, 노르아드레날린, 갑상선 호르몬 등이 있다. 작용 기전은 펩타이드 호르몬과 유사하게 세포막 수용체를 통해 작용하거나, 스테로이드 호르몬처럼 세포 내 수용체와 결합하기도 한다.

작용 기전

호르몬은 혈액을 통해 운반되어 표적 세포에 도달하면, 특정 수용체와 결합하여 신호 전달 과정을 개시한다. 수용체는 세포막에 존재하거나 세포 내에 존재할 수 있으며, 호르몬-수용체 복합체는 다양한 세포 내 반응을 유도하여 최종적으로 세포의 기능이나 활동을 변화시킨다.

이상과 질병

호르몬의 과다 분비 또는 과소 분비는 다양한 질병을 유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슐린 부족은 당뇨병을 유발하고, 갑상선 호르몬 과다 분비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유발한다. 호르몬 관련 질환은 호르몬 수치를 측정하거나, 호르몬 자극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하며, 호르몬 대체 요법, 수술, 약물 치료 등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참고 문헌

(관련 서적 및 논문 목록 - 실제 위키백과와 유사하게 추가될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