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79,842건

한국어의 대명사

한국어의 대명사는 명사를 대신하여 쓰이는 단어이다. 한국어 대명사는 지시대명사와 인칭대명사로 크게 나눌 수 있으며, 문맥 속에서 명확하게 지칭 대상을 파악할 수 있을 때 사용된다.

1. 지시대명사

지시대명사는 사물이나 장소, 사실 등을 가리키는 대명사이다. 화자와 청자와의 거리 관계에 따라 구분된다.

  • 이: 화자에게 가까운 것을 지칭한다. 예) 이것, 이곳, 이러하다
  • 그: 청자에게 가까운 것을 지칭하거나, 이미 언급된 것을 다시 지칭한다. 예) 그것, 그곳, 그러하다
  • 저: 화자와 청자 모두에게서 먼 것을 지칭한다. 예) 저것, 저곳, 저러하다

2. 인칭대명사

인칭대명사는 사람을 가리키는 대명사이다. 1인칭(말하는 사람), 2인칭(듣는 사람), 3인칭(말하는 사람과 듣는 사람 이외의 사람)으로 나뉜다. 한국어 인칭대명사는 높임법과 겸양법이 발달하여, 상대방과의 관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가 존재한다.

  • 1인칭: 나, 저, 우리, 저희
    • '나'는 격식을 차리지 않는 상황에서 주로 사용된다.
    • '저'는 자신을 낮추어 말할 때 사용되며, 공식적인 자리나 웃어른에게 사용된다.
    • '우리'는 복수 형태이며, '저희'는 '저'의 복수 형태로 자신을 낮추어 말할 때 사용된다.
  • 2인칭: 너, 당신, 자네, 그대
    • '너'는 친한 사이에서 주로 사용된다.
    • '당신'은 일반적으로 존칭으로 사용되지만, 부부 사이나 싸울 때 사용되기도 한다.
    • '자네'는 아랫사람에게 사용하는 표현이다.
    • '그대'는 문학적인 표현이나 노래 가사 등에서 사용된다.
  • 3인칭: 그, 그녀, 이분, 그분, 저분
    • '그'는 남성을 지칭할 때, '그녀'는 여성을 지칭할 때 사용된다. (다만, '그녀'는 현대 한국어에서 사용 빈도가 낮아지고 있다.)
    • '이분', '그분', '저분'은 존칭으로, '이', '그', '저'에 '분'을 붙여 높임의 의미를 더한다.

참고 사항

  • 한국어에서는 주어가 생략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대명사 사용 빈도가 높지 않다.
  • 높임법과 겸양법을 고려하여 적절한 대명사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문맥 속에서 지칭 대상을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사용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