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022건

펩시노겐

펩시노겐 (Pepsinogen)은 위장에서 단백질 분해 효소인 펩신의 전구체(proenzyme)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즉, 펩시노겐은 비활성 상태의 단백질이며, 위산(염산)에 의해 활성화되어 펩신으로 전환된다.

개요

펩시노겐은 위벽의 주세포(chief cell)에서 생성 및 분비된다. 분비된 펩시노겐은 위액의 강산성 환경(pH 1.5-2.5)에서 자신의 펩타이드 결합을 스스로 분해(자가촉매 활성화, autocatalysis)하여 활성형 펩신으로 전환된다. 펩신은 단백질을 더 작은 펩타이드 조각으로 분해하는 효소로서, 단백질 소화의 첫 단계를 담당한다.

생성 및 분비 조절

펩시노겐의 생성 및 분비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조절된다. 미주신경(vagus nerve)의 자극, 가스트린(gastrin) 호르몬, 그리고 위 내의 산성 환경 등이 펩시노겐 분비를 촉진한다. 특히, 위 내 pH가 상승하면 펩시노겐 분비가 더욱 활발해지는 경향이 있다.

임상적 의의

혈액 내 펩시노겐 농도는 위 점막의 상태를 간접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펩시노겐 I은 주로 위저부와 체부의 주세포에서 분비되므로, 펩시노겐 I의 농도가 낮으면 위축성 위염 등 위 점막 손상을 의심할 수 있다. 펩시노겐 I/II 비율 또한 위 질환 진단에 활용될 수 있다.

추가 정보

펩시노겐은 몇 가지 아이소폼(isoform)이 존재하며, 펩시노겐 I과 펩시노겐 II가 대표적이다. 펩시노겐 I은 위저부와 체부에서만 발견되는 반면, 펩시노겐 II는 위 전체와 십이지장에서도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