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프레서
컴프레서 또는 압축기는 기체나 증기의 부피를 줄이고 압력을 높이거나, 음향 신호의 다이내믹 레인지(가장 큰 소리와 가장 작은 소리의 차이)를 줄이는 장치를 의미한다. 사용 분야에 따라 그 작동 원리와 목적이 크게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무언가의 크기(부피, 신호 레벨)를 '압축'한다는 의미를 가진다.
주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주요 분야에서 사용된다.
-
기계식 컴프레서:
- 설명: 기체나 증기에 기계적인 일을 가하여 압력을 높이고 부피를 줄이는 장치이다. 이는 열역학적 과정으로, 압축 과정에서 기체의 온도도 상승할 수 있다.
- 용도: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공압 도구(에어드릴, 타카 등)를 작동시키기 위한 압축 공기 생산, 냉동 및 공조 시스템(냉매를 압축하여 열을 방출하도록 함), 천연가스나 화학 물질의 이송, 산업 공정에서의 압력 공급, 제트 엔진에서의 공기 압축 등에 사용된다.
- 종류: 작동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다. 대표적으로 왕복식(피스톤), 로터리식(스크류, 베인), 원심식, 축류식, 스크롤식, 다이아프램식 등이 있으며, 필요한 압력, 유량, 작동 유체, 효율성, 소음 수준 등에 따라 적합한 형식이 선택된다.
-
음향 컴프레서 (Audio Compressor):
- 설명: 오디오 신호의 다이내믹 레인지를 줄여, 큰 소리는 줄이고 작은 소리는 상대적으로 키워 전체적인 소리의 크기를 일정하게 만들거나 평균 레벨을 높이는 장치 또는 효과이다. 설정된 임계값(Threshold) 이상의 신호 레벨에 대해 특정 비율(Ratio)로 신호를 압축한다.
- 용도: 음악 믹싱 및 마스터링, 방송, 라이브 사운드 등 음향 처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보컬이나 악기의 소리 크기를 균일하게 하거나, 특정 소리를 앞으로 나오게 하거나, 피크 레벨을 제한하여 장비를 보호하고, 소리의 질감이나 톤을 변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 주요 파라미터: 임계값(Threshold), 압축 비율(Ratio), 공격 시간(Attack), 해제 시간(Release), 무릎 곡선(Knee), 메이크업 게인(Make-up Gain) 등의 설정을 통해 압축의 정도와 특성을 조절한다.
- 종류: 회로 방식이나 작동 방식에 따라 VCA, FET, Optical(광학식), Tube(진공관), Digital 방식 등으로 구분되며, 각 방식마다 소리의 성향이나 반응 속성 등에 차이가 있다.
이 외에도 데이터 압축(Data Compression)과 같이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거나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도 있으나, 이는 보통 물리적인 컴프레서와는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참고 항목:
- 펌프
- 익스팬더
- 리미터
- 게이트
- 냉동 사이클
- 공압
- 다이내믹 레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