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간
천간(天干)은 동아시아의 역법에서 사용되는 십간(十干)을 가리키는 말이다. 십간은 갑(甲), 을(乙), 병(丙), 정(丁), 무(戊), 기(己), 경(庚), 신(辛), 임(壬), 계(癸)의 열 개의 글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지지(地支)와 함께 간지를 구성한다. 천간은 음양오행 사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각 글자는 특정한 오행(木, 火, 土, 金, 水)과 음양(陰, 陽)을 나타낸다.
갑(甲)과 을(乙)은 목(木)에 속하며, 갑은 양(陽), 을은 음(陰)을 나타낸다. 병(丙)과 정(丁)은 화(火)에 속하며, 병은 양(陽), 정은 음(陰)을 나타낸다. 무(戊)와 기(己)는 토(土)에 속하며, 무는 양(陽), 기는 음(陰)을 나타낸다. 경(庚)과 신(辛)은 금(金)에 속하며, 경은 양(陽), 신은 음(陰)을 나타낸다. 임(壬)과 계(癸)는 수(水)에 속하며, 임은 양(陽), 계는 음(陰)을 나타낸다.
천간은 단순한 기호를 넘어, 날씨, 계절, 시간, 방위 등 다양한 의미를 지니며, 점술, 역사 기록,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었다. 간지의 순서는 갑자(甲子)로 시작하여 계해(癸亥)로 끝나며, 60년 주기로 순환한다. 천간의 배열 순서와 의미는 동아시아 각 문화권에 따라 미묘한 차이가 있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