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099건

조령모개/조변석개

조령모개 (朝令暮改) / 조변석개 (朝變夕改)

1. 개요

조령모개(朝令暮改)와 조변석개(朝變夕改)는 아침에 내린 명령을 저녁에 다시 고친다는 뜻으로, 법령이나 정책 등이 일관성이 없이 자주 바뀜을 비판적으로 이르는 고사성어이다. 비슷한 의미로 '변덕이 죽 끓듯 한다'는 속담도 있다.

2. 유래

  • 조령모개 (朝令暮改): 《한서(漢書)》 식화지(食貨志)에 처음 등장한다. 원래는 '백성을 속이는 정책'을 비판하는 맥락에서 사용되었다.
  • 조변석개 (朝變夕改): 정확한 문헌적 출처는 찾기 어려우나, 조령모개와 유사한 의미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3. 의미와 용례

두 단어 모두 윗사람의 명령이나 정책이 자주 바뀌어 신뢰를 잃고 혼란을 야기하는 상황을 묘사할 때 사용된다. 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며, 정책 결정 과정의 신중함 부족이나 지도자의 우유부단함을 비판하는 데 사용된다.

  • 예시: "정부의 조령모개식 정책으로 인해 국민들의 불신이 커지고 있다."
  • 예시: "그의 조변석개하는 태도는 주변 사람들을 피곤하게 만든다."

4. 관련 어휘

  • 유사어: 변덕, 오락가락, 번복
  • 반의어: 일관성, 지속성, 불변

5. 참고 문헌

  • 《한서(漢書)》 식화지(食貨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