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지수
정운지수는 대기 과학에서 대기의 불안정도를 나타내는 지수 중 하나이다. 구름의 발달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사용되며, 특히 대류운이나 적란운의 발생 가능성을 파악하는 데 유용하다.
정운지수는 특정 고도의 기온과 습도를 이용하여 계산되며, 일반적으로 지상부터 500hPa (헥토파스칼) 고도까지의 대기 상태를 분석한다. 계산 방법은 다양하지만, 일반적으로 특정 고도에서의 기온과 이슬점 온도의 차이를 활용하여 대기의 불안정도를 정량화한다.
정운지수가 높을수록 대기가 불안정하며, 이는 강한 상승 기류와 함께 뇌우나 집중 호우와 같은 악천후의 발생 가능성을 높인다. 반대로 정운지수가 낮으면 대기가 안정적이며, 구름 발달이 억제된다.
기상 예보관들은 정운지수를 다른 기상 변수와 함께 분석하여 날씨를 예측하고, 특히 여름철 뇌우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 데 활용한다. 하지만 정운지수 하나만으로는 정확한 예측이 어려우므로, 종합적인 분석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