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체 지도
유전체 지도는 생물의 유전체, 즉 한 개체의 완전한 DNA 염기서열 정보를 담고 있는 지도를 의미합니다. 유전체 지도는 염색체 상의 유전자 위치, 유전자 간의 거리, DNA 마커의 위치 등을 포함하며, 생명체의 유전적 특징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합니다.
유전체 지도는 크게 물리적 지도와 유전 지도(연관 지도)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물리적 지도: DNA 염기서열 자체의 물리적인 거리를 기준으로 유전자나 DNA 마커의 위치를 정확하게 나타냅니다. 염색체 상의 특정 위치를 염기쌍(base pair, bp) 단위로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으며, BAC(Bacterial Artificial Chromosome) 클론, YAC(Yeast Artificial Chromosome) 클론, 또는 DNA 단편들을 이용하여 제작됩니다. 고해상도의 물리적 지도는 전체 유전체 서열 정보를 바탕으로 구축될 수 있습니다.
-
유전 지도 (연관 지도): 유전자 간의 유전적 연관성을 기반으로 제작됩니다. 유전적 연관성은 감수분열 과정에서 유전자들이 함께 다음 세대로 전달되는 경향을 의미하며, 연관성이 높을수록 유전자 간의 거리가 가깝다고 판단합니다. 유전 지도는 교차율을 이용하여 유전자 간의 거리를 센티모건(cM) 또는 맵 유닛(map unit, m.u.)으로 표시합니다.
유전체 지도는 유전체 연구의 핵심 도구로서, 질병 유전자 탐색, 품종 개량, 진화 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인간 유전체 지도의 완성은 개인 맞춤 의학 시대를 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다른 생물 종의 유전체 지도는 농업, 환경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유전체 지도는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새로운 기술과 정보를 통해 더욱 정밀하고 포괄적인 지도가 구축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