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버이날
어버이날은 대한민국에서 매년 5월 8일에 기념하는 날로, 어버이의 은혜에 감사하고, 어른과 노인을 공경하는 경로효친의 전통적 미덕을 기리는 날이다.
개요
어버이날은 부모님께 감사와 존경을 표하고, 가정의 화목을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자녀들은 카네이션을 달아드리거나 선물을 드리고, 감사의 편지를 쓰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부모님께 마음을 전한다. 또한, 정부에서는 효행자, 장한 어버이 등을 선정하여 포상하고, 경로잔치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여 어버이날의 의미를 되새긴다.
유래 및 역사
어버이날의 유래는 1956년 5월 8일에 시작된 '어머니날'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한국전쟁 이후 사회적으로 어려움이 많았던 시기에 어머니의 희생과 사랑에 대한 감사를 표하기 위해 제정되었다. 이후 '아버지의 날'도 함께 기념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면서 1973년에 '어버이날'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법정기념일로 지정되었다.
기념 행사
어버이날에는 전국적으로 다양한 기념 행사가 개최된다. 학교에서는 학생들이 부모님께 감사의 편지를 쓰거나 카네이션을 만들어 드리는 행사를 진행하며, 사회복지관이나 노인복지관 등에서는 어르신들을 위한 경로잔치가 열린다. 또한, 정부에서는 효행자 및 장한 어버이에게 포상을 수여하여 효 문화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상징
어버이날의 상징은 카네이션이다. 카네이션은 어머니의 사랑, 감사, 존경 등을 상징하며, 자녀들은 어버이날에 부모님께 카네이션을 달아드림으로써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붉은색 카네이션은 어머니에 대한 사랑, 분홍색 카네이션은 감사, 흰색 카네이션은 돌아가신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