색전증
색전증(塞栓症, embolism)은 혈액, 공기, 지방, 종양 세포 등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진 색전(embolus)이 혈관을 타고 이동하다가 혈관을 막아 혈액 순환 장애를 일으키는 질환입니다. 색전은 혈관 내에서 생성될 수도 있고, 다른 부위에서 이동해 올 수도 있습니다.
원인
색전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색전의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 혈전: 심부정맥 혈전증, 심방세동, 인공 심장 판막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공기: 수술, 외상, 중심 정맥 카테터 삽입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지방: 골절, 지방 흡입술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양수: 분만 시 양수가 혈액 내로 유입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종양 세포: 암세포가 혈관을 타고 이동하여 다른 부위에 전이될 수 있습니다.
증상
색전증의 증상은 막힌 혈관의 위치와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 폐색전증: 호흡 곤란, 가슴 통증, 기침, 객혈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 뇌색전증: 마비, 감각 이상, 언어 장애, 시력 장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졸중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 사지 색전증: 통증, 창백, 차가움, 맥박 소실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조직 괴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진단
색전증의 진단은 환자의 증상, 병력, 신체 검진 소견을 종합하여 판단합니다. 필요한 경우 혈액 검사, 심전도 검사, 흉부 X선 검사, CT 혈관 조영술, MRI 검사 등을 시행할 수 있습니다.
치료
색전증의 치료는 색전의 종류, 크기, 위치, 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합니다.
- 항응고 요법: 혈전 생성을 억제하고 혈전이 더 커지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합니다.
- 혈전 용해 요법: 혈전을 녹여 혈류를 회복시키기 위해 사용합니다.
- 수술: 색전을 직접 제거하거나 혈관을 복구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 지지 요법: 산소 공급, 수액 공급, 통증 관리 등을 통해 환자의 상태를 안정시키는 데 사용합니다.
예방
색전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 장시간 앉아 있거나 누워 있는 경우 주기적으로 스트레칭을 합니다.
- 심부정맥 혈전증의 위험이 있는 경우 압박 스타킹을 착용합니다.
- 수술 후 항응고 요법을 시행합니다.
- 심방세동 환자는 항응고제를 복용합니다.
참고 문헌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 색전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