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480건

마찰음

마찰음은 조음 기관 사이의 좁은 틈 사이로 공기를 통과시킬 때 발생하는 마찰을 이용하여 내는 소리입니다. 이러한 마찰을 통해 특유의 거친 소리가 만들어지며, 자음의 한 종류로 분류됩니다.

조음 방법:

마찰음은 입술, 혀, 이, 입천장 등 다양한 조음 기관을 사용하여 만들어집니다. 공기가 지나가는 틈을 좁게 만들어 마찰을 일으키는 것이 핵심적인 조음 방법입니다. 틈의 크기, 위치, 그리고 공기의 흐름 속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마찰음이 생성됩니다.

종류:

한국어에는 다음과 같은 마찰음이 있습니다.

  • ㅅ, ㅆ: 잇몸 마찰음. 혀끝과 윗잇몸 사이의 좁은 틈에서 마찰을 일으켜 소리를 냅니다. 'ㅅ'은 평음, 'ㅆ'은 경음입니다.
  • ㅎ: 성문 마찰음. 목청 사이의 좁은 틈에서 마찰을 일으켜 소리를 냅니다.

다른 언어에서는 더 다양한 마찰음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어의 'f', 'v', 'th' 등이 있습니다.

음성학적 특징:

마찰음은 지속음의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즉, 공기의 흐름을 계속 유지하면서 소리를 낼 수 있습니다. 또한, 조음 위치에 따라 치음, 치경음, 연구개음 등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예시:

  • ㅅ: 사과, 시계, 소리
  • ㅆ: 싸다, 쓰다, 씩씩하다
  • ㅎ: 하나, 호랑이, 하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