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21,324건

랑자야심

랑자야심(狼子野心)은 이리 새끼의 품은 야심이라는 뜻으로, 흉악하고 잔인한 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고사성어이다. 겉으로는 순종하는 척하지만 속으로는 흉계를 품고 있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유래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에 나오는 한신의 고사에서 비롯되었다. 한신은 유방에게 중용되어 큰 공을 세웠으나, 유방은 한신이 반역할 것을 두려워하여 그를 제거하려 했다. 한신은 죽기 전에 "과연 사람들의 말과 같이 교활한 토끼가 죽으면 사냥개를 삶아 먹고, 높이 나는 새가 없어지면 활을 감추며, 적국이 깨지면 모신은 망하는 법이로다.(果若人言,狡兔死,良狗亨;高鳥盡,良弓藏;敵國破,謀臣亡。)"라고 탄식하며 자신의 처지를 한탄했다.

이후 사마천은 한신을 평가하며, "내가 듣건대, 관상쟁이는 한신의 용모를 보고 '그대는 비록 왕의 작위를 얻겠지만, 흉상이니 반드시 반란을 일으킬 상'이라고 말했다 한다. 한신이 천하를 얻은 뒤에도 백성을 편안하게 하고 그 공을 지킬 줄 몰랐으니, 관상쟁이의 말이 헛되지 않았도다. 혹자는 한신이 회음에서 모반하려다 죽음을 당했으니, 당연하다고 말한다. 그러나 나는 한신이 회음에서 모반하지 않았더라도 결국에는 화를 면치 못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한신은 그 재주가 뛰어나지만, 스스로 화를 불러들였으니, 이는 마치 '이리 새끼가 품은 야심'과 같다고 할 수 있다."(吾聞之,相人者,相淮陰,曰:「君雖有王之號,然有反相。」觀其居楚則叛,後歸漢則不豫,豈非然哉!既得天下,而不知守功,自取滅亡,良可哀也。或曰淮陰侯從邯鄲之還,陰謀反,誅死宜也。然吾以爲淮陰侯雖不反於淮陰,終當以見害,況於反乎!其才士也,而亡身,猶狼子野心。) 라고 평했다. 여기서 '랑자야심'이라는 고사성어가 유래되었다.

용례

  • 그는 겉으로는 순종하는 척했지만, 속으로는 랑자야심을 품고 있었다.
  • 그 회사는 경쟁사를 인수합병하려는 랑자야심을 드러냈다.
  • 정치인은 랑자야심을 숨기고 국민을 속이려 했다.

참고 문헌

  •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