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0,325건

돌담

돌담은 자연석이나 가공된 돌을 쌓아 올려 만든 담이다. 주로 경계를 표시하거나, 토사의 유실을 막고, 바람을 막는 용도로 사용된다. 돌을 쌓는 방식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지역과 시대에 따라 독특한 특징을 보이기도 한다.

개요

돌담은 인류가 정착 생활을 시작하면서부터 만들어지기 시작했으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예로부터 집의 울타리, 밭의 경계, 성곽 등에 돌담을 사용해 왔다. 특히 제주도의 돌담은 '밭담'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세계농업유산에 등재될 정도로 독특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종류

돌담은 쌓는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헐담: 돌을 대충 쌓아 올린 담으로, 주로 임시적인 용도로 사용된다.
  • 줄담: 돌을 규칙적으로 줄을 맞추어 쌓아 올린 담으로, 비교적 튼튼하고 미관상으로도 깔끔하다.
  • 바른층 쌓기: 돌의 크기와 모양을 고려하여 층층이 가지런하게 쌓는 방식으로, 가장 튼튼하고 안정적인 돌담을 만들 수 있다.
  • 허튼층 쌓기: 돌의 크기와 모양에 상관없이 자연스럽게 쌓는 방식으로, 자연스러운 멋을 살릴 수 있다.

기능 및 역할

돌담은 다음과 같은 기능 및 역할을 수행한다.

  • 경계 표시: 사유지나 특정 구역의 경계를 명확하게 표시한다.
  • 토사 유실 방지: 경사면에 돌담을 쌓아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막는다.
  • 방풍: 바람을 막아 농작물을 보호하고, 주거 환경을 개선한다.
  • 미관: 돌담 자체가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하여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룬다.
  • 방어: 성곽의 일부로 적의 침입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돌담의 문화적 가치

돌담은 단순한 구조물을 넘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돌담을 통해 그 지역의 자연환경, 생활 방식, 건축 기술 등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돌담은 아름다운 경관을 형성하여 관광 자원으로서의 가치도 높다.

관련 용어

  • 밭담: 제주도의 밭 경계에 쌓은 돌담
  • 성곽: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돌이나 흙으로 쌓은 담
  • 돌 축대: 흙이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해 쌓은 돌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