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민
난민이란 인종, 종교, 민족, 특정 사회 집단의 구성원 신분 또는 정치적 견해를 이유로 박해를 받을 공포 때문에 자신의 국적 국가 밖에 머물고 있으며, 그 국가의 보호를 받을 수 없거나 보호받기를 원하지 않는 사람을 지칭한다. 또한, 무국적자로서 이전의 상주국 밖에 머물고 있으며, 그 국가로 돌아갈 수 없거나 돌아가기를 원하지 않는 사람 역시 난민으로 간주될 수 있다.
난민의 지위는 1951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협약(난민협약)과 1967년 난민의 지위에 관한 의정서에 의해 국제적으로 보호받는다. 난민협약은 난민의 정의, 권리, 그리고 의무를 규정하고 있으며, 난민을 강제로 본국으로 돌려보내는 것을 금지하는 '강제송환 금지의 원칙'을 명시하고 있다.
난민 발생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주로 정치적 불안정, 전쟁, 내전, 종교적 박해, 인종 갈등, 자연재해, 기후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자신의 고향에서 더 이상 안전하게 생활할 수 없게 된 사람들이 국경을 넘어 다른 국가로 피난하는 과정에서 난민이 발생한다.
난민 문제는 국제 사회의 중요한 과제 중 하나이며, 난민의 보호와 지원은 국제적인 협력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유엔난민기구(UNHCR)는 난민 보호를 위한 국제적인 노력을 주도하고 있으며, 각국 정부와 비정부기구(NGO)들이 난민의 정착, 교육, 의료, 생계 지원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하지만, 난민 수용은 사회적, 경제적 부담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난민 혐오와 차별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난민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난민 발생 원인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난민 수용국의 사회 통합 노력을 강화하며, 난민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