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안동 김씨
구 안동 김씨(舊 安東 金氏)는 한국의 성씨 본관 중 하나로, 안동을 관향(貫鄕)으로 하는 김씨의 한 본관이다. 특히 고려 시대에 크게 융성했던 가문으로, 동성동본(同姓同本)인 신 안동 김씨(新 安東 金氏)와 구분된다. 시조는 고려 후기의 명장인 김방경(金方慶)이다.
'구(舊)'는 '옛날'을 의미하며, 이는 안동 김씨 중 김방경을 시조로 하는 가문을, 김숙승(金叔承)을 시조로 하는 '신 안동 김씨'와 구분하기 위해 후대에 붙여진 명칭이다. 두 가문은 관향은 같지만 혈연적으로는 서로 다른 계통으로 알려져 있다.
구 안동 김씨는 고려 고종 때의 명장 김방경(金方慶)을 시조로 한다. 김방경은 무신 집권기에 출사하여 원종, 충렬왕 대에 걸쳐 삼별초의 난 진압, 여원연합군의 일본 원정 등에 참여하며 큰 공을 세웠고, 최고위직에 올랐다. 시조 김방경 이후 그의 후손들이 고려 시대에 걸쳐 문벌 가문으로 성장하며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
하지만 조선 시대에 들어서는 고려 시대만큼의 세력을 유지하지는 못했으며, 오히려 조선 후기 순조 이후 세도 정치기에 크게 부상하여 왕비(순원왕후 등)를 배출하고 권세를 누린 가문은 신 안동 김씨이다. 따라서 구 안동 김씨와 신 안동 김씨는 같은 안동 김씨이지만, 시조가 다르고 가문의 역사적 전성기 및 영향력 행사에 차이가 있다.
주요 인물로는 시조 김방경 외에 그의 아들 김제거, 김흔 등 고려 시대 활동한 후손들이 있다. 조선 시대에는 고려 시대만큼의 명성을 이어가지는 못했으나, 가문의 명맥을 유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