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PIVERSE

🔍 현재 등록된 정보: 31,294건

과학고등학교

과학고등학교 (科學高等學校, Science High School)는 과학 인재 양성을 목표로 설립된 대한민국의 특수목적고등학교이다. 약칭은 '과고'이다.

개요

과학고등학교는 수학, 과학 분야에 재능이 뛰어난 학생들을 조기에 발굴하여 심화된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창의적이고 융합적인 사고 능력을 갖춘 과학 기술 인재를 육성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일반 고등학교와는 달리 과학 및 수학 교과의 비중이 높고, 실험, 연구 활동 등 탐구 중심의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것이 특징이다. 졸업생들은 주로 이공계 대학으로 진학하여 과학 기술 분야의 전문가로 성장한다.

역사

대한민국 최초의 과학고등학교는 1983년에 개교한 경기과학고등학교이며, 이후 전국적으로 과학고등학교가 설립되어 현재는 20개 이상의 과학고등학교가 운영되고 있다. 초기에는 대학 부설 형태의 과학고등학교가 많았으나, 점차 독립적인 형태로 운영되는 학교도 늘어나고 있다.

입학

과학고등학교 입학 전형은 학교마다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서류 평가, 면접, 필기시험 (지필평가) 등의 과정을 거친다. 과거에는 중학교 내신 성적이 중요하게 반영되었으나, 현재는 창의성과 문제 해결 능력, 과학적 탐구 능력 등을 평가하는 방향으로 전형 방식이 변화하고 있다. 자기소개서, 교사 추천서, 과학 관련 활동 실적 등이 서류 평가에 활용되며, 면접에서는 과학적 사고력, 의사소통 능력, 인성 등을 평가한다.

교육 과정

과학고등학교의 교육 과정은 일반 고등학교와는 달리 수학, 과학 교과의 심화 학습에 중점을 둔다. 대학 수준의 과목을 이수하거나,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기회를 제공하기도 한다. 또한, 외국어, 정보 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폭넓은 지식 함양을 돕는다.

졸업 후 진로

과학고등학교 졸업생들은 대부분 이공계 대학, 특히 과학기술원(KAIST, UNIST, GIST, DGIST)이나 명문 대학의 이공계 학과로 진학한다. 졸업 후에는 과학 기술 분야의 연구자, 엔지니어, 교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국가 과학 기술 발전에 기여한다.

논란 및 비판

과학고등학교는 우수 인재를 조기에 선발하여 집중 교육함으로써 국가 경쟁력 강화에 기여한다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입시 경쟁 과열, 사교육 조장, 우수 학생 쏠림 현상 등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또한, 과학고등학교 졸업생들이 의학 계열로 진학하는 경우가 많아 과학 인재 양성이라는 설립 취지에 어긋난다는 비판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