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어체
고어체는 현대 국어에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거나, 매우 드물게 사용되는 옛말의 어형이나 어법을 사용한 문체를 말한다. 문헌어라고도 한다. 고어체는 특정 시대의 언어 특징을 반영하며, 현대 국어와는 다른 문법 구조, 어휘, 표현 방식을 보인다.
주로 역사 소설, 판타지 소설 등에서 시대적 배경을 강조하거나, 특정 인물의 성격을 부각하기 위해 사용된다. 고전 문학 작품의 번역이나 연구에서도 고어체의 이해는 필수적이다.
고어체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주격 조사: '이/가' 대신 '이/가' 외에 '께서', '애/에' 등이 사용된다.
- 목적격 조사: '을/를' 대신 '을/를' 외에 '애/에' 등이 사용된다.
- 동사의 활용: 현재의 활용 형태와 다른 다양한 활용 형태가 나타난다. 예) '하다'의 옛 활용형: 'ᄒᆞ다', 'ᄒᆞᆯ', 'ᄒᆞ며' 등
- 어휘: 현대 국어에서 사용되지 않거나 의미가 변화한 어휘가 사용된다. 예) '어엿쁘다' (예쁘다), 'ᄀᆞᆯ다' (갈다)
- 문장 구조: 현대 국어와 다른 어순이나 문장 구조가 나타난다.
고어체는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 배경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므로, 고어체 연구는 국어학뿐만 아니라 역사학, 문학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