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체
가체(加髢)는 한국 전통 사회에서 여성들이 머리를 장식하기 위해 사용했던 덧머리이다. 자신의 머리카락에 덧붙여 풍성하고 화려하게 보이도록 연출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사회적 지위와 부를 과시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되었다.
역사
가체의 사용은 삼국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특히 고려 시대와 조선 시대에 크게 유행하였다. 왕족이나 양반 계층의 여성들은 크고 화려한 가체를 사용하여 자신의 신분을 드러냈으며, 일반 평민 여성들도 혼례와 같은 특별한 날에 가체를 사용하기도 했다. 가체의 크기와 장식은 신분에 따라 제한되기도 하였으나, 시대가 흐르면서 그 규제가 점차 약화되었다.
종류 및 제작
가체는 주로 사람의 머리카락을 사용하여 만들었으며, 때로는 동물의 털이나 섬유를 섞어 만들기도 했다. 제작 방법은 머리카락을 실로 엮어 땋거나 붙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제작되었다. 가체에는 비녀, 댕기, 첩지 등의 장신구를 함께 사용하여 화려함을 더했다.
사회적 영향
가체는 여성의 아름다움을 돋보이게 하는 장식품이었지만, 지나치게 크고 무거운 가체는 여성의 건강을 해치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또한, 가체를 만드는 데 많은 비용이 소모되어 사회적인 문제로 지적되기도 했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가체의 과도한 사용이 사회적 낭비라는 비판이 제기되면서, 영조는 가체 금지령을 내리기도 했다. 이후에도 가체 사용을 억제하려는 노력이 있었으나, 완전히 근절되지는 않았다.
현대적 의미
현대에 와서는 전통 혼례나 사극 드라마 등에서 가체를 찾아볼 수 있으며, 전통 문화의 일부로서 그 의미를 되새기고 있다.